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지난전시 테마전
국립박물관 소장 『韓國의 銅鏡』
  • 전시명

    국립박물관 소장 『韓國의 銅鏡』

  • 전시장소

  • 전시기간

    1992-12-01~1992-12-20

  • 공유하기

    페이스북 X

ㅇ 전시장소 : 국립청주박물관

ㅇ 전시내용 : 거울(鏡)의 역사는 인류가 빛의 반사효과를 알게됨으로써 비로소 시작된다고 할 수 있는데 서아시아에서는 B.C 6000년경의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흑요석(黑曜石)으로 만든 석경(石鏡)이 출토되어 그 시원이 오래됨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중국(中國)에서도 청동대야(銅鑒)에 물을 담아 얼굴을 비춰본 데서 동경의 기원을 찾으며 깨끗하고 거짓없는 마음을 비추는 본보기의 상징(象徵)으로 알려지고 있다.
동경은 청동기시대 유물가운데 중요한 품목의 하나로서, 크기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원형동판(圓形銅版)의 한쪽면을 매끈하게 처리하여 경면(鏡面)으로 사용하고 배면(背面)은 여러 가지 모양을 새겨넣었으며 여기에 손잡이 끈을 매달기 위한 구멍난 꼭지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밖에 스키타이계 동경이나 근동지역 청동기유적(靑銅器遺蹟)에서 출토되는 동경들에서는 인형이나 동물모양을 장식한 손잡이를 마련한 병경(柄鏡)로 나타난다. 선사시대 동경은 용모를 비춰보기 위한 화장용구로도 사용되었을 것이나 그보다는 제예용구(祭禮用具), 혹은 원시신앙(原始信仰)과 관계 되는 주술적(呪術的)인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주로 부장품(副葬品)으로 출토된다.
우리나라 청동기시대 동경은 기하학적 집선문(集線文)을 도안(圖案)한 것이 많은데 일반적으로 다뉴경이라 하며 경배면(鏡背面)에 두 개의 꼭지가 있는 경우도 있고, 이들 지는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다뉴경은 스키토시베리안 문화에서 유래한 북방계의 동경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초기철기시대까지 제작되다가 중국 한무제(漢武帝)의 고조선 침략 이후 제작이 단절되고 대신 한경(漢鏡)의 유입과 방제경(倣製鏡)의 제작이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또 다뉴경은 동면이 평면 또는 오목거울로 된 것이 많은데 이는 중국거울이 주앙에 한 개의 꼭지가 있고 대부분 볼록거울이란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삼국시대의 동경은 중국 한 대(漢代)의 문물이 우리나라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주로 한경계(漢鏡系)의 거울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나 특히 무녕왕릉(武寧王陵)에서 나온 방격규구신문경(方格規矩神文鏡)은 일본(日本) 관음총산고분(觀音塚山古墳)에서 출토된 동경과 함께 한 틀에서 제작되어 당시의 문화교류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삼국시대 말기에 내려오면서 그동안 고분에서 발견되던 동경이 절터에서도 나오고 있어 그 저변이 넓어진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동경은 중국으로부터의 수입과 국내의 독자적인 제작이 함께 진행되고 이를 두주(再鑄), 삼주(三鑄)하거나 변형시키면서 다양한 종류의 동경들이 나타나게 된다.
대체로 중국경의 형태와 무늬를 모방(模倣)하여 제작된 당시의 동경은 반구(半球) 단뉴(單紐)가 경배면(鏡背面) 중앙에 돋아 있고 경뉴(鏡紐) 주위에는 꽃잎받침이 돌려지며 紐의 모양이 구두형(龜頭形)이나 두형(頭形)인 별형(別形)도 종종 보이고 있다. 紐座로부터 테두리 사이의 경면은 동심원으로 구획을 하기도 하고 또는 구획이 없이 각종 무늬와 문자를 표현하고 있는데 그 조형기법(造形技法)도 선조(線彫), 부조(浮彫), 고부조(高浮彫), 상감(象嵌)등을 다양하게 나타내고 있다.
삼국시대 이후 우리나라의 동경은 중국경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왔음이 역력하다. 장식무늬에 있어서도 도자기(陶磁器)와 같은 공예품에서 나타나는 전통적인 것보다는 중국계의 장식무늬가 많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외국으로부터의 동경의 반입과 이를 되부어 만들기가 용이함며 동경의 무늬가 일반적으로 감상의 차원이 아닌 좀 더 격조놓은 도가적(道家的)인 내용을 담고 있어서 이러한 무늬의 圖案이 발달된 중국의 동경을 선호하게 된데서 비롯되었다 하겠다.
선사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민족이 오랫동안 사용 하여온 청동거울을 한자리에 모은 전시는 국보 143호 전남 화순 대곡리 출토 청동기시대 동경과 국보 161호 무녕왕릉출토 동경등 총 128건 180여점을 전시하여 동경의 시대적 변천모습과 공예사적(工藝史的) 의의를 구명하고자 기획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