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8 건이 검색되었습니다.
-
<호조낭관계회도> - 조선시대 호조 관리들의 모임
- 국적/시대
조선 1550년경
-
크기/지정구분
93.5×58㎝
보물
신수 2234
- 국적/시대
-
인왕제색도―한국 회화사를 대표하는 걸작
- 국적/시대
조선 1751년
-
크기/지정구분
79.2×138.0cm
국보
- 국적/시대
-
모란도 10폭 병풍―영원히 계속될 것 같은 모란꽃밭
- 국적/시대
조선 1820년대
-
크기/지정구분
194.0×580.0cm(병풍 전체)
본관 8165
- 국적/시대
-
『홍무예제(洪武禮制)』-우리나라에 들어온 중국의 예법을 기록한 책
- 국적/시대
조선 전기 (추정)
-
크기/지정구분
28.8×19.0cm
보물
증 3471
- 국적/시대
-
용 · 봉황 장식 고리자루 큰 칼 – 대가야 지배자의 상징물
- 국적/시대
삼국시대 6세기
-
크기/지정구분
잔존 길이 약 28.0cm
보물
M번 310
- 국적/시대
-
허목 초상–함부로 기뻐하거나 화내지 마라
- 국적/시대
조선 1794년
-
크기/지정구분
72.1×57.0cm
보물
덕수 3836
- 국적/시대
-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고려 왕실과 귀족의 컬래버레이션(Collaboration; 협업)
- 국적/시대
고려 1387년
-
크기/지정구분
26.7×15.6cm
보물
증 3461
- 국적/시대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에서 나온 사리장엄구
- 국적/시대
통일신라
-
크기/지정구분
전체 높이 9.8cm
국보
신수 2123 등
- 국적/시대
-
백자 청화 산수무늬 사각병-유럽에서 시작된 사각병(feat. 유리병)
- 국적/시대
조선 19세기
-
크기/지정구분
높이 18.1cm
본관 10941
- 국적/시대
-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제20―가르침을 찾아 떠난 여정
- 국적/시대
고려
-
크기/지정구분
31.0×12.0㎝(표지)
보물
증 3458
- 국적/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