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 소식
  • 소속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고려시대의 경주' 연계 강연 개최-고려시대 경주의 언어와 불교미술을 살펴본다.
  • 작성일 2016-08-16
  • 조회수 1803
  • 담당자 학예연구실 이용현 (054-740-7535)

고려시대 경주의 언어생활과 불교미술을 살펴보는 특별 강연 개최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유병하)은 2016년 8월 17일(수) 오후 1시 30분에서 5시 20분에 걸쳐 강당에서  특별전 “고려시대의 경주” 연계 강연을 개최한다. 이번 강연은 특별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언어와 불교미술 부문을 살펴볼 예정이다. 


고려시대의 말은 어떠했을까
 먼저 이용(서울시립대) 교수는 고려시대 우리말의 모습에 대해 강연한다.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된 기림사 소장 자비도량참법에 기입된 구결자료를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추어 상세하게 설명하여, 고려시대 구결을 이야기 한다. 구결이란 우리말과 구조가 달랐던 한문漢文을 읽기위해 기입한 고려시대 당시의 우리말이다. 우리말과 한문은 어순이 다르고, 한문에는 우리말과 같은 토씨(조사)가 없다. 그러한 외국어를 이해하고 우리식으로 읽기 위해 고려사람들은 한문에 토씨를 메모한 것이다. 이것은 훗날 한글의 모태가 되는데, 이용 교수는 실제 자료를 토대로 관람객 및 수강자들에게 상세하게 그 전모를 밝힐 예정이다. 이용 교수는 고려시대 구결 전문 연구자이며, 유럽의 슬로베니아 대학에서 우리말과 우리문화를 가르쳤던 경력의 소유자로서, 세계인의 눈높이에서 고려시대 우리말을 이야기할 예정이다.   


고려시대 기축문화였던 불교 미술 문화는 어떠했을까
 다음으로 송은석(동국대) 교수는 고려시대의 불교미술 문화에 대해 강연한다. 불상, 불화, 불구와 금속공예에 대해 설명하게 되는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고려시대는 불교문화가 문화의 중심이었다. 이런 연유로 고려시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불교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데, 송은석 교수는 이와 같은 이해를 돕기 위해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곁들여 설명할 예정이다.

고려시대 불상의 지역적인 특성, 전기에서 후기로 접어들면서 변화되는 양상을 사진자료를 활용하여 설명한다. 또 고려 불화의 정교한 채색방법과 불화에 그려진 고려인이 생각한 극락정토 즉 유토피아도 설명한다. 불화와 불상에 나타난 부처님의 모습 등도 설명한다. 


특별전 전시유물의 교체 전시와 큐레이터와의 대화
또 불국사 소장 석가탑형지기와 소명기(모두 국보 126호)와 경순왕영정 초본을 8월 12일부터 교체전시하여 새로 선보인다. 석가탑형지기와 소명기는 1036년 지진으로 무너진 석가탑과 불국사를 2년에 걸쳐 재건하고 그 경위를 1038년에 기록한 문서다. 당대 지역사회가 고관에서 노비에 이르기까지 한마음으로 협력하여 지역사회의 사찰을 재건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번에 교체전시한 경순왕영정초본은 채색하기 전 단계의 스케치에 해당하는 초본 草本으로서 국내에 처음으로 공개되는 것이다.


전시는 9월4일(일)까지 계속되며, 특강은 무료로 사전신청없이 누구나 수강할 수 있다. 한편, 8월 20일(토) 14:00-15:00, 8월 31일(수) 17:30-18:30에 특별전시관에서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열어 전시 담당 큐레이터가 직접 전시해설을 진행할 예정이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고려시대의 경주' 연계 강연 개최-고려시대 경주의 언어와 불교미술을 살펴본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