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 治石> 개최_돌을 예술로 승화시킨 백제인의 석조 테크놀로지 조명
  • 등록일2021-12-21
  • 조회수485
  • 담당부서 학예연구실

2021특별전 <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 治石 > 개최

돌을 예술로 승화시킨 백제인의 석조 테크놀로지 조명

   국립부여박물관(관장 윤형원)과 사비고고학연구회(회장 정훈진)는 공동으로 20211221()부터 202258()까지 특별전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사비 백제 브랜드 활성을 위해 마련한 특별전으로백제인들이 돌을 어떻게 다루었나를 주제로 석조 테크놀로지를 조명한다.


  전시 구성은
1. (돌을) 조각하다, 2. (돌을) 조립하다, 3. (돌을) 다스리다라는 3가지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1
(백제인, 돌을 조각하다)에서는 백제권의 풍부한 돌 산지 정보와 돌을 가공한 도구를 소개한다. 그리고 백제의 생활에서 사용한 다양한 돌 조각품을 다룬다. 여기에는 투박하지만 단순함이 특징인 절구를 비롯해 용기와 추 등 도량형으로 표현된 척도에 이르기까지 백제인의 손에서 탄생한 여러 가지 생활용품을 보여준다.

   2(백제인, 돌을 조립하다)에서는 마치 조립 블록과 같이 돌에 난 홈과 턱으로 구성된 건축 자재를 비롯하여 돌과 돌을 결구(結構)하는 데 쓰인 장치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세계유산인 부여 나성(羅城)을 비롯한 백제의 주요 유적이 작은 돌 하나하나가 모여 만들어졌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특히 이 코너에서는 도수관(導水管, 물을 끌어오는 장치)을 비롯하여 부여 나성에서 출토된 명문(銘文) 성돌들이 전시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3(백제인, 돌을 다스리다)에서는 돌로 만들어진 불상(佛像)과 탑() 두 가지 주제를 다룬다. 먼저 불상(佛像) 코너에서는 완전한 모습을 보여주는부여 군수리석조여래좌상(寶物)’이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다가 오랜만에 고향으로 돌아와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선보인다. 또한, 하나의 큰 바위의 4면에 불상을 새긴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은 현재 예산군 화전리에 남아 있는 불상과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발굴하여 깨어진 상태로 보관 중이던 불두(佛頭) 편 등을 접합해 현대 기술인 3D 스캔과 프린팅 작업으로 원형을 재현해 보았다.

   탑()을 주제로 하는 공간에서는 국립부여박물관 야외 정원에서 전시하던 부여 구아리 출토 심초석을 특별전에서 보여주며, 심초석과 결합되는 석재 뚜껑을 비롯해 탑 조성에서 보이는 사리장엄구의 형태와 위치 변화를 다루었다.

특히, 목탑(木塔)에서 석탑(石塔)으로 변화되는 기술발전 과정이 백제(百濟)에서 시작되었음을 영상으로 소개한다. 백제(百濟)의 탑 조영 테크놀로지가 신라(新羅)와 일본()은 물론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석탑 조영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흔한 돌을 보석과 같이 다룬 백제인들의 시각과 뛰어난

석조 테크놀로지를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부여박물관] 특별전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 治石> 개최_돌을 예술로 승화시킨 백제인의 석조 테크놀로지 조명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