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실 조선실 전시품 대폭 교체
  • 등록일2015-08-04
  • 조회수2117
  • 담당부서 고고역사부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실 조선실 전시품 대폭 교체
 

ㅇ 전시장소 : 중·근세관 조선 1~5실
ㅇ 전시기간 : 2015. 8. 4~ (일부 유물은 12월 초 교체 예정)
ㅇ 교 체 품 : 현존 최고 계회인 금란반월계회 자료,
                  정조가 직접 채점한 이서구의 답안지,
                  헌종의 계비 효정왕후 한글편지 등 50건 92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은 8월 4일 상설전시실 조선실의 전시 유물을 대폭 교체하여 공개한다. 이번에 교체된 유물 가운데는 최근 구입하여 관람객들에게 처음 공개되는 유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새로 발굴된 주요 자료가 있어 눈길을 끈다.
 
이번 전시품 가운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550년 전에 결성된 국내 최고의 향촌 계회 조직인 금란반월회金蘭半月會의 내력과 회의 규칙, 회원의 이름 등을 기록한 금란반월회문이다. 금란반월회는 강릉 지역의 향촌사회를 유학적 이념으로 개혁하기 위해 1466년(세조 12) 음력 9월 9일에 강릉 지방의 유학자 16명이 결성한 단체로, 향촌 사회에 유학을 보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
금란반월회문은 1982년 고려대학교 도서관이 개최한 고문서 자료 전시회에서 국내 최고의 계회 자료로 최초 공개되었으며, 1983년에는 계회의 후손이 소장한 계회도가 소개되었다. 2008년에는 계회문 상단에 계회도가 그려진 원래의 형식을 유지한 자료가 세간에 공개되어 화제가 되었다. 이번 전시 자료는 이들 자료들과 다른 것으로, 이후 비교 고증을 통한 제작 연대 파악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전시되는 <갑을동계지도甲乙同契之圖(갑인년과 을묘년생 동갑들의 모임을 그린 그림)>는 1614년(갑인년)과 1615년(을묘년)에 태어난 강릉 지역 문인 16명이 경포대에서 모임을 갖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경포대를 배경으로 한 계회의 모습은 엷은 먹으로 그려져 있으며, 그림 좌측에는 경포대에서 동갑, 동향인 구성원들이 즐겼다는 내용을 썼다. 그림 아래쪽에는 회원 16명의 이름과 자, 본관, 거주 촌락 이름을 기록하였다. 이 계회의 그림은 뛰어난 작품은 아니지만, 향촌의 동갑내기 문인들이 만든 계회도로는 희귀한 것이다. 또한 조선 중기의 계회도가 얼마 남아 있지 않은 가운데 17세기라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크다. 갑을동계의 구성원 중 최응천崔應天(1615~1671)의 5대조가 금란반월회를 결성한 최자점崔自霑이다. 이 외 이 계회의 구성원들 가운데 반 이상이 금란반월회 구성원이었던 강릉 최씨, 강릉 김씨, 강릉 박씨의 후손들이다. 이러한 연관성으로 볼 때 이 동갑 모임은 금란반월회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전시에서 또 하나 눈길을 끄는 것은 유득공, 박제가, 이덕무와 함께 한시 4대가로 꼽히는 이서구李書九(1754∼1825)가 정조의 명으로 작성하고 정조가 직접 채점을 한 시험 답안지이다. 이 답안지는 이서구가 규장각의 초계문신抄啟文臣 시절인 1785년(정조 9) 10월 24일 작성한 것으로 ‘작매예嚼梅蘂(매화 꽃잎을 씹다)’라는 제목의 시이다. 붉은 색으로 먹으로 차중次中(넷째 등급의 둘째 급)이라고 쓴 채점이 있으며, 시구 여러 곳에 붉은 색 줄을 긋고 어말(御抹-국왕이 칠하다)이라는 종이를 붙여, 정조가 직접 채점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밖에도 유성룡의 임진왜란 기록인 『징비록懲毖錄』필사본, 1731년에 정혁선鄭赫先(1666~1733)이 작성한 재산분배 기록, 헌종의 계비 효정왕후孝定王后의 한글 편지 등 20여점의 유물이 처음 공개된다. 또 고려 후기에 작성된 국보 131호 이태조 호적 원본, 정조가 왕세손으로 책봉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정선의 세검정 그림, 사대부가 여성들이 사용했던 소품, 이탈리아 주간지에 실린 고종의 장례식 기사 등 중요 유물 50건 92점이 소개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번 교체 전시가 여름방학과 휴가철을 맞아 국립중앙박물관을 찾는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유물을 선보이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주기적인 전시 교체를 통해, 새로운 전시품을 선보이고자 한다.

[붙임사진 참조]
1. 조선 17세기 추정, 78.3x44.0cm
2. 갑을동계지도, 17세기 초, 85.0x54.5cm
3. 국보 131호 이태조 호적 원본, 고려 후기, 55.7x386.0cm
4. 정조가 채점한 이서구의 답안지, 1785년, 58.2x86.3cm
5. 효정왕후의 한글 편지, 19세기, 22.4x41.4cm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실 조선실 전시품 대폭 교체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