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해설
1. '박물관 명품' 해설
국립중앙박물관 소속 전문해설사가 ‘경천사 10층 석탑’, ‘반가사유상‘ 등 박물관의 명품을 해설해 드립니다.
-
-
- 대상 :
기관, 단체 (성인, 15인 이상)
- 시간 :
원하는 시간대 선택 가능, 1시간 소요
- 예약 :
희망일 하루 전까지 전화 문의(02-2077-9685, 무료)
*학생단체 해설 문의는 02-2077-9680~1
- 대상 :
-
1F |
주먹도끼(구석기) 빗살무늬토기(신석기) 농경무늬청동기(청동기) 호우명 그릇 혹은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고구려) 황남대총 금관·금허리띠(신라) 통일신라 및 발해실 1점 경천사 10층 석탑(역사의 길) |
---|---|
2F |
괘불(불교회화) 혹은 서화 1점(서화)사유의 방 |
3F |
감산사지 불상, 철불(불교조각) 물가풍경무늬 정병(금속공예) 청자 칠보무늬 향로(청자) 백자 달항아리(분청사기·백자) |
※ 전시상황에 따라 해설 대상 문화유산이 바뀔 수 있습니다.
2. 외국인을 위한 예약해설
국립중앙박물관 소속 전문해설사가 ‘경천사 10층 석탑’, ‘반가사유상‘ 등 박물관의 명품을 해설합니다.
-
- 대상 :
성인, 기관, 단체 등 외국인 관람객(영어권의 경우 15인 이상)
- 예약 :
박물관 누리집 외국어 사이트 또는 희망일 하루 전까지 전화로 문의하십시오.(무료)
English 02-2077-9683, 日本語 02-2077-9676, 中文 02-2077-9686
- 대상 :
태블릿 PC를 보면서 주제를 따라 전시품을 살펴보는 프로그램입니다.
-
- 대상 :
외국인 관람객
- 문의 :
English 02-2077-9683, 日本語 02-2077-9676, 中文 02-2077-9686
- 대상 :
-
EnglishMuseum Highlight
-
日 本 語朝鮮の囯王
-
中 文不灭的光芒,黄金
3. 어린이를 위한 전시해설 '일요일 오후, 박물관' 예약하기
어린이를 위한 전시해설 ‘일요일 오후, 박물관’은 초등학생의 눈높이에 맞춘 해설 프로그램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속 전문해설사가 진행합니다.
-
- 일 시 :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0분~2시 10분(40분)
- 신청방법 :
선착순 온라인 접수
- 참가대상 :
초등학생(고학년) 및 가족(동반 3인 가능)
- 문의:
02-2077-9698, 9684
- 일 시 :
4. 이야기가 있는 전시해설 '스마트 큐레이터' 예약하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속 전문해설사와 함께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태블릿 PC를 보면서 주제에 따라 재미있게 전시품을 살펴보는 전시해설입니다.
-
- 시간 :
평일 오후 3시, 주말 오전 10시 30분, 오후 3시
- 신청방법 :
선착순 온라인 접수
- 참가대상 :
전국민(동반 3인 가능)
- 문의 :
02-2077-9698, 9684
- 시간 :
1 | 박물관 명품 산책 | 농경문청동기(청동기), 금관(신라), 청자참외모양병(청자), 반가사유상(사유의 방) 등 13점의 국립중앙박물관 최고 명품을 소개한다. | |
2 | 조선시대 관료의 길 | 조선시대 선비들은 관료가 되기 위해 과거시험을 준비하였다. 과거시험 과정과 합격한 후 관료로서 하는 일, 승진 과정, 관료의 취미생활 및 은퇴 후의 모습을 살펴본다. | |
3 | 미술품 속에 담겨진 숨은 이야기 | 백제금동대향로나 고려청자 등 우리 미술품에 등장하는 상징들은 무엇이 있고,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시대에 따라 등장하는 여러 상징들의 숨은 이야기를 소개한다. | |
4 | 금속, 청동검에서 철불까지 | 금속은 열을 가해 당기면 늘어나고 두드리면 펴지면서 점점 강해진다. 이 성질을 이용해 만들어진 청동검부터 철로 만든 불상까지 금속의 다양한 활용을 살펴본다. | |
5 | 흙과 함께 한 한국사 | 흙은 한국인의 정신과 문화를 담아낸 중요한 소재이다. 손으로 빚어 불에 구워내 다양하게 변화된 흙의 모습을 박물관 전시품에서 만나볼 수 있다. | |
6 | 우리 문화유산으로 보는 불교미술 | 우리 문화유산을 통해 부처와 보살의 다양한 수인(손갖춤)과 지물(가지고 있는 물건)이 가지는 의미 등을 살펴본다. | |
7 | 조선의 국왕 | 조선시대 국왕은 유교사상을 통치 이념으로 삼아 나라를 다스렸다. 탄생에서 후세의 평가까지 국왕이 걸어온 길을 남아있는 문화유산으로 살펴본다. | |
8 | 한국의 세계문화유산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한국문화유산을 무덤, 인쇄, 건축, 불상이라는 주제로 나누어 소개한다. | |
9 | 사랑은 아름다워 | '우리 문화유산에 담긴 사랑이야기', '우리 문화유산을 사랑한 사람들'로 구성하여 문화유산에 담긴 부모와 자식, 부부, 친구 등의 사랑과 문화유산에 대한 사랑으로 의미를 확대하여 새롭게 구성하였다. | |
10 | 실크로드 보물, 한반도에 오다 | 서역의 황금 보검이 신라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어떻게 신라로 오게 되었을까? 비단 교역의 통로 실크로드와 바다를 가로지르는 바닷길 등 동양과 서양 문화 교류의 증거를 찾아본다. | |
11 | 나무, 삶의 숨결 | 나무로 만들어진 미술품들이 이렇게 많았다니! 가구, 칠기, 불교공예품 등 나무로 만든 다양한 문화유산에서 선조들의 숨결을 느껴본다. | |
12 | 과학으로 본 유물의 비밀 | 손상되고 파괴된 문화유산들에게 본래의 모습을 찾아주는 ‘보존과학’의 과정을 따라가 보며, 새 생명을 얻은 문화유산의 비밀을 살펴본다. | |
13 | 시대의 첨단기술, 무기 | ‘가장 최신 기술을 적용하라!’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강력한 국가를 위해 제작된 첨단기술의 결정체, 무기들을 찾아본다. | |
14 | 박물관 밥상이야기 | 옛 사람들은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시대와 환경에 어우러져 발전한 음식 문화를 통해 우리 먹거리의 역사와 그 속에 담긴 선조들의 지혜를 살펴본다. | |
15 | 불멸의 빛, 황금 |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황금은 고 귀함과 영원함을 상징하며, 역사 속에서 권력자들을 상징하는 재료였다. 박물관에 전시되어있는 다양한 황금전시품을 보며 찬란한 우리의 황금문화를 알아본다. | |
16 | 우리 곁의 도자기 | 우리가 흔히 도자기라고 부르는 청자, 분청사기, 백자의 흐름을 알아보고, 고려, 조선시대에 도자기가 어떤 용도로 쓰였는지를 "우리 곁의 도자기"에서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 |
17 | 유물 속 여성 이야기 | 우리 역사 속의 여성들은 어떤 이야기를 남겼을까?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유물 속에 담긴 여성들의 이야기를 신화와 역사, 기록, 일상을 통해 알아본다. | |
18 | 그림과 글자로 보는 우리 역사 | 기록은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알려준다. 오늘날의 기록은 주로 문자이지만 문자 등장 이전에는 그림이 있었다. 아주 옛날에 남겨진 그림부터 문자를 누구나 사용하게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살펴본다. | |
19 | 행복의 조건 | 행복이란 무엇일까? 행복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것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크게 다르지 않았다. 부, 권력과 명예, 무병장수, 즐거움으로 나눠 행복의 조건을 찾아본다. |
-
- ※
국립중앙박물관의 모든 전시해설 서비스는 무료입니다.
- ※
상업적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는 해설단체는 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