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 청동기
    청동기

    전시실 소개

      • 청동기시대, 농경과 마을의 발전 그리고 금속의 등장
      •  
      • 기원전 1,500년쯤, 한반도와 중국의 동북지역에서 청동이 등장했다. 하지만 청동은 매우 귀했고, 일상 도구는 여전히 돌이나 나무로 만들어졌다. 또 다른 큰 변화는 농사가 가장 중요한 생업 수단이 되었다는 점이다. 농사일에는 마을 전체의 단결과 공동 노동이 필요했고 자연스럽게 큰 마을이 생겼다. 이 때 형성된 대규모 농경 마을들은 한반도 고대국가를 구성하는 근간이 되었다. 농경의 발달은 공동체 안팎으로 여러 갈등을 유발했고, 이를 조정하는 우두머리가 필요했다. 우두머리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져 권위와 권력을 갖게 되었다. 사람들은 그들을 기억하기 위해 고인돌과 같은 큰 기념물을 만들었다.

      전시 동영상

      청동기 만들기 (02:26)

      ('청동기 만들기'에 대한 대체텍스트입니다.)
      채광과 선광- 청동기의 주재료인 구리와 주석이 포함된 광석을 캡니다. 큰 광석은 잘게 부수고 질 좋은 것들을 골라냅니다.
      제련- 점토로 만든 노 안에 광석과 목탄을 넣고 열을 가하면 구리가 녹아 내리며 쇳물이 됩니다. 이 과정을 제련이라고 합니다. 주석 역시 같은 방법으로 원료를 확보합니다.
      거푸집 만들기- 다양한 도구를 만들기 위해 돌이나 점토를 이용해 거푸집을 만듭니다. 도구의 형태에 따라 거푸집이 하나이거나 두개가 짝을 이루는 경우도 있습니다.
      바깥 거푸집 사이에 점토를 끼워 넣고 대강의 모양을 잡습니다. 청동 쇳물이 바깥 거푸집과 안쪽 거푸집 사이로 흐를 수 있도록 모양을 잡아줍니다.
      안쪽 거푸집 만들기- 나무 자루 등을 끼울 수 있는 홈이나 구멍을 만들려면 안쪽에도 거푸집이 있어야 합니다. 안쪽 거푸집이 뜨거운 청동 쇳물에도 견딜 수 있도록 열을 가해 단단히 만들어 줍니다. 바깥 거푸집과 안쪽 거푸집을 단단히 고정시켜 준비해 둡니다.
      주조- 구리와 주석을 도가니에 넣고 높은 열을 가해 액체 상태로 만듭니다. 구리와 주석을 따로 넣어 녹이거나 미리 섞어 둔 청동 덩어리를 이용했습니다. 청동 쇳물을 거푸집에 부어 원하는 형태로 굳힙니다. 청동 쇳물이 식으면 거푸집에서 꺼내어 안쪽 거푸집과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합니다.
      마무리- 거칠거나 날카로운 부분은 숫돌로 갈아내 매끄럽게 만듭니다. 필요한 경우 추가로 다듬거나 날을 세워 마무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