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조선ꞏ부여ꞏ삼한
전시실 소장품
전시실 소개
- 고조선・부여・삼한, 최초의 나라 고조선과 여러 나라들
- 청동기시대 농경의 발달과 마을의 성장은 사회 분화를 촉진했다. 각 지역의 농경 공동체 중 으뜸가는 세력은 점차 주변을 통합해 나갔고 마침내 한반도와 그 주변에 여러 나라가 생겨났다. 우리 역사에서 가장 먼저 등장한 나라는 고조선이다. 기원전 2세기 이후에는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마한, 진한, 변한) 같은 나라들도 나타났다. 그들의 규모와 발전 수준은 제각각 달랐고, 고유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저마다 세력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통합과 재편이 일어났다. 한반도의 중남부 지역에 있었던 마한, 진한, 변한의 작은 나라들은 서로 경쟁하며 발전했고 이후 백제, 신라, 가야로 성장했다.
전시 동영상
* 이 영상은 음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부여·삼한
('부여· 삼한'에 대한 대체 택스트입니다.)
부여· 삼한 buyeo kingdom·samhan period
경기 김포 운양동 유적/귀걸이 부여,삼한토기 부여,옥저,동예 토기 경북 경주 탑동 경남 창원 다호리 중부 지역의 마한 토기 호남 지역의 마한 토기 영남 지역의 변,진한 토기 옥저, 동예의 토기 삼한의 허리띠 고리 삼한의 말갖춤 삼한의 장신구 점치는 뼈 오리 모양 토기 경북 경주 탑동 출토 방제경 곰 모양 장신구 삼한의 문자 환경, 연필, 지우개, 공책낙랑군 설치
('낙랑군 설치'에 대한 대체텍스트입니다.)
낙랑군의 설치 installation of lelang
고조선은 한과의 전쟁에서 1년여에 걸쳐 맞설 만큼 강성한 국가였으나 내부 분열로 인해 기원전 108년 멸망하였다. 한나라는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낙랑군을 설치하였다. gojoseon was a powerful state that batteld the han dynasty for almost a year before collapsing in 108BCE, largely as a result of internal conflicts. the han dynasty took control of the former gohoseon territory and installed military outposts, including lelang commandery.
낙랑군의 문화 culture of lelang
시간이 흐르면서 고조선 문화와 북방 문화, 그리고 중국 문화가 결합하여 독특한 낙랑 문화를 형성하였다. 그러다가 고구려가 남쪽으로 진출하여 낙랑(313년), 대방군(314년)을 모두 아우르게 되었다.
낙랑군의 중심지 center of lelang commandery
낙랑군의 중심지는 평양설, 요동설, 요서설 등 여러 학설이 제기되고 있다. 20세기 초부터 행해진 발굴조사 결과와 최근 북한의 발굴 결과 공개에 의해 평양으로 파악하는 설이 학계의 통설로 인정되고있다. different theories have placed the center of lelang commandery in either pyeonyan, yodong, or yoseo, but archaeological evidence gathered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excavations in north korea, suggests that pyeongyang was most likely the center.
낙랑 대표 무덤, 석암리 9호 tomb9 at seoham-ri:representative burial of lelang
석암리 9호 무덤은 구덩이 속에 큰 목곽을 만들고 그 속에 다시 목관과 목관을 넣는 형식의 귀틀무던이다. 껴묻거리 중에는 칠기, 청동거울, 장신구 등 중국에서 수입된 문물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무덤의 규모와 껴묻거리로 볼때 낙랑의 최고급 분묘로 판단되며, 기원 8년의 명문이 적힌 칠기가 출토되었다.
낙랑 대표 무덤, 석암리 9호 tomb9 at seoham-ri:representative burial of lelang
-
-
위치
-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