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2년 1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대표이미지
지난행사
2022년 1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12월에 만나는 알차고 풍성한 선물,

큐레이터와의 대화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큐레이터의 상세한 해설을 들으며 전시품을 관람할 수 있도록 마련한 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1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프로그램은 새로 문을 연 기증실청자실이다. 상설전시관 2층 기증실의 <새롭게 단장한 기증실 둘러보기>는 담당 큐레이터와 함께 기증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 볼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청자실의 <청자실 새단장 둘러보기>에서는 고려시대 명품 도자 전시의 흐름을 따라 고려 귀족문화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고려시대 청자향로>에서는 우아한 비색과 화려한 조형의 향로를 자세히 살펴보고, <상감청자에 보이는 고려인의 자연관>에서는 고려 비색 청자를 제작할 수 있었던 고려인들의 예술혼을 이야기한다.

특별전시실의 <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에서는 조선시대 중요 국가 행사의 준비과정, 참석자, 소요된 물품 내역과 경비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 의궤 하나하나를 흥미롭게 소개한다.

세계문화관 중앙아시아실 <과학으로 들여다본 중앙아시아 목재편의 채색 안료>에서는 8세기 전후 투루판 지역에서 목재품에 사용한 안료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소개하고, 중국실의 <조각의 미, 중국 명대 조칠기>에서는 두꺼운 옻칠 층을 조각하여 만든 아름다운 도안의 중국 명대 조칠기를 감상할 수 있다.

선사고대관 부여삼한실의 <2천년 전 붓, 다시 살아난 글자>에서는 다호리 출토 붓과 목간, 그리고 지우개 역할을 했던 칼 등을 통해 2천년 전 우리 선조들의 문자생활을 알아본다. 가야실의 <가야 판갑옷>에서는 가야인들의 갑옷과 무기를 살펴보고, 전쟁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그 밖에도 <어린이박물관 교육상자>,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전시관><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등 박물관 곳곳에서 다양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세부일정 붙임파일 참조)

박물관 사정에 따라 큐레이터, 주제, 장소 등이 변경될 수 있음.
특별전시 및 기획전시의 경우 입장(티켓 구매) 후 참가.

관람객과 박물관의 소통 공간인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별도의 예약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단체(20명 이상)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사전에 예약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큐레이터와의 대화관련 리플릿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관람정보-전시해설-큐레이터와의 대화자료실에서 e-book, PDF 형태로 제공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야간개장 큐레이터와의 대화프로그램 운영

일시: 매주 수요일 18:00~18:30 / 19:00~19:30

공휴일이 수요일인 경우에는 큐레이터와의 대화없음

참여방법: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현장에서 참여 가능(정원 제한 없음)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선사·고대관, ·근세관, 기증관, 서화관, 조각·공예관,

세계문화관, 역사의 길, 특별전시실] 및 기획전시실과 야외 전시장

관람료: 상설전시관(무료), 단 기획전시와 특별전시는 관람료 별도

셔틀버스 운영: 단체 20명 이상(편도), 무료, 버스예약(02-2077-9042)

국립중앙박물관 관람시간

국립중앙박물관 관람시간을 요일, 시간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요일

시간

일요일

10:00 ~ 18:00 (입장 마감: 17:30)

토요일

10:00 ~ 21:00 (입장 마감: 20:30)


2022년 1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일정을 각 회차(날짜), 시간별로 나타낸 표입니다.

20221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일정표

703(12/7)

18:00~18:30

19:00~19:30

조각공예관

특별전시실

조각공예관

세계문화관

청자실 새단장 둘러보기

청자실(303)

미술부 서유리

특별전<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6)

특별전시실(121)

고고역사부 김진실

고려시대 청자향로

청자실(303)

고객지원팀 이용진

조각의 미,

중국 명대 조칠기

중국실(309)

세계문화부 이정은

704(12/14)

18:00~18:30

19:00~19:30

조각공예관

특별전시실

어린이박물관

선사고대관

상감청자에 보이는 고려인의 자연관

청자실(303)

미술부 강경남

특별전<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7)

특별전시실(121)

고고역사부 임혜경

어린이박물관 교육상자

하하배움터

어린이박물관 입구

어린이박물관과 고지훈

가야 판갑옷

가야실(107)

전시과 박진일

705(12/21)

18:00~18:30

19:00~19:30

선사고대관

특별전시실

으뜸홀

기증관

2천년 전 붓,

다시 살아난 글자

부여삼한실(104)

고고역사부 이상미

특별전<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8)

특별전시실(121)

고고역사부 김동우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전시관

상설전시실 으뜸홀

디지털박물관과 백승미

새롭게 단장한

기증관 둘러보기

기증

세계문화부 이원진

706(12/28)

18:00~18:30

19:00~19:30

세계문화관

특별전시실

중근세관

조각공예관

과학으로 들여다본

중앙아시아 목재편의 채색안료

중앙아시아실(307)

보존과학부 고수린

특별전<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9)

특별전시실(121)

고고역사부 김진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대한제국실(120)

유물관리부 김영민

통일신라시대

촉지인 불상

불교조각실(301)

전시과 양수미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2022년 12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