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동기
전시실 소장품
전시실 소개
- 청동기시대, 농경과 마을의 발전 그리고 금속의 등장
- 기원전 1,500년쯤, 한반도와 중국의 동북지역에서 청동이 등장했다. 하지만 청동은 매우 귀했고, 일상 도구는 여전히 돌이나 나무로 만들어졌다. 또 다른 큰 변화는 농사가 가장 중요한 생업 수단이 되었다는 점이다. 농사일에는 마을 전체의 단결과 공동 노동이 필요했고 자연스럽게 큰 마을이 생겼다. 이 때 형성된 대규모 농경 마을들은 한반도 고대국가를 구성하는 근간이 되었다. 농경의 발달은 공동체 안팎으로 여러 갈등을 유발했고, 이를 조정하는 우두머리가 필요했다. 우두머리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져 권위와 권력을 갖게 되었다. 사람들은 그들을 기억하기 위해 고인돌과 같은 큰 기념물을 만들었다.
전시 동영상
* 이 영상은 음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청동기시대 마을, 밭, 논, 무덤
('청동기시대 마을, 밭, 논, 무덤'에 대한 대체텍스트입니다.)
청동기 시대의 마을 villages of bronze age
청동기시대에는 농경을 바탕으로 정착 생활이 본격화하면서 큰 규모의 마을들이 생겨났다. 집터는 면적이 큰 장방형의 형태에서 작은 원형, 방형의 형대로 변화한다. the first large villages began to appear in the bornze age, a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llowed many people to settle in a single area archaeological sites of such villages have yielede remains and evidence of houses
방형 주거지 경남 진주 대평리 세장방형주거지 충남 아산 명암리 장방형 주거지 충북 청주 용암 용정동 원형 주거지 충남 부여 송국리 청동기시대 마을 모습 강원 화천 용암리 마을을 둘러싼 환호 모습 경남 창원 남산 청동기시대의 밭 dry fiedls of the bornze age
청동기시대의 밭은 진주 대평리 유적에서 대규모를 발견된 이래 전국에 걸쳐 계속 발견되고 있다. the first large dry fields dating from the bronze age to be discovered in korea were at the daepyeong-ri site in jinju, and similar fields have since been found throughout the courntry
밭은 주로 하천 범란원의 자연 제방에 입지하며, 고랑과이랑으로 이루어져 현재의 밭과 같은 모양이다. most ancient dry fields were located along the banks and in the floodplains of natural water sources, and they show the same ridge and furrow pattern that marks contemporary fields.
밭에서 재배된 작물로는 쌀,밀,보리,기장,조,콩 등이 있으며, 오늘날처럼 구획되지 않고 계속 연결되어 있어서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경작하고 분배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crops cultivated in the dry fields during this perioed include rice, wheat, barley, millet, foxtail millet, and pulse.
두둑이 있는 구획식 논은 울산 무거동 옥현 유적이 대표적이다. rice paddies are usually located in valleys below or between hills, because such areas offer abundant water combined with protection against flood damage.
한편, 논산 마전리 유적에서는 논과 함께 나무로 만든 우물이, 대구 동천동 유적에서는 돌로 만든 우물이 발견되었다. more rice paddies, along with a wooden well, were discovered at the majeon-ri site in nonsan, and a stone well was found at the dongcheon-dong site in daegu.
청동기 시대의 무덤 bronze age tombs
청동기시대의 무덤은 고인돌을 비롯하여 돌널무덤, 독널무덤, 주구묘 등이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고인돌이다. the tombs of the bronze age included dolmens, stone cist tombs, and jar coffin tombs, with dolmens being the most common.
탁자식 고인돌 인천 강화 부근리 바둑판식 고인돌 전북 고창 죽림리 돌널무덤 충남 보령 관창리 독무넘 충남 논산 마전리 무덤칸이 발달한 고인돌 경남 창원 덕천리 돌무지너물덤 충남 논산 원북리농경문 청동기
('농경문 청동기'에 대한 대체텍스트입니다.)
농경문청동기 bronze implement with farming scenes
농경청동기 전 대전 괴정동
유물 해설
농경문청동기의 세계 역사속으로 이미지갤러리 농경기청동기의 시대에는 따비를 밭을 갈고 괭이로 땅을 일구어 씨앗을 뿌리고 가을의 풍요로운 들녁에서 곡식을 거두어 운반하고 마을의 평화를 지키고 풍요를 바라는 솟대를 높이 세웠다. 당시의 지배자는 마을의 안녕을 위해 전쟁을 지휘하고 풍요를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였다.
역사속으로 bronze implement with farming scenes
1969년 대전의 고물상과 서울 상인을 통해 28,000원에 구입되었다.
당시에는 파손되고 녹이 심해 크게 기대를 모으지 못했다.
녹을 제거하고 보존처리를 완료하자, 누구도 상상 못할 일이 벌어졌다.
선사시대 대표적인 회화작품이자 농경이 발달한 사회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청동의기가 등장한 것이다.
미국, 독일 등 국내외 여러 전시에서 한국적 청동기 문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명품으로 소개되고 있다.
농경문청동기 이미지 갤러리
국내외 여러 전시에서 한국적 청동기문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명품.여러가지 민무늬 토기
('여러가지 민무늬 토기'에 대한 대체텍스트입니다.)
여러가지 민무늬토기 varieties of plain pottery
청동기시대에는 토기 겉면에 무늬가 거의 없는 민무늬토기를 사용했다 이러한 민무늬토기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여러특징을 보이며 꾸준히 사용되었다, plain pottery without any surface patterns emerged in the bronze age. some examples have been found with very simple patterns consisting of rows of holes.
새김 덧띠무늬 토기 incised pottery with raised slip decoration
아가리 가까이에 점토띠를 붙이고 그 위에 눈금을 새긴 토기이다.
팽이 모양 토기 top-shaped pottery
아가리가 겹으로 되고, 그 부위에 일정한 간격을 짧은 빗금무늬가 새겨져있다. 주로 대동강 유역에서 출토 된다.
미송리식 토기 misionni-style pottery
한쪽 끝이 잘린 표주박 모양이다. 주로 중국 랴오닝지역에서 청전강 이북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구멍무늬 토기 perforated-rim pottery
아가리 아래 작은 구멍을 뚫은 토기이다. 두만강 유역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해 남한 전역에 출토 된다.
가락동식 토기 garakdong-style pottery
아가리가 넓은 겹으로 되고, 그 부위에 연속으로 빗금무늬가 새겨져있다. 주로 금강 유역에서 출토 된다.
골아가리 토기 pottery with a notched rim strip
아가리 윗면에 눈굼을 새긴 토기이다. 구멍무늬 토기에도 눈금을 새긴 예가 많다.
송국리식 토기 songgungni-style pottery
아가리 부분이 좁아졌다가 살짝 꺾이는 토기이다. 호서,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하며 영남 지역과 제주도에서도 발견된다.
덧띠 토기 pottery with raised slip decoration
아가리 바깥 부분에 단면 원형 또는 삼각형의 점토띠를 말아 붙여서 만든 토기이다.
가지무늬 토기 pottery with egglpant design
토기 어깨 부분에 검은색으로 가지무늬가 베풀어져 있는 토기이다.
검은간토기 black burnished pottery
고운 바탕흙을 사용하여 만든 후 표면에 흑연 등을 바르고 문질러 검은 광택이 나는 토기이다
굽다리 접시 mounted dish
긴 굽다리가 달린 그릇이다,
-
-
위치
-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