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석기
전시실 소장품
전시실 소개
- 구석기시대, 힘든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싸움
- 구석기시대에는 추운 빙하기와 따뜻한 간빙기가 반복되었다. 빙하기 동안 지구의 많은 범위가 얼음으로 덮였다. 가장 추웠던 마지막 빙하기에는 한반도의 서해가 육지였다. 한반도와 일본도 육지로 이어져 있었다.
- 이른 구석기시대 고기를 자르고 뼈를 부수거나 열매를 다듬기 위해 찍개와 주먹도끼 같은 단순한 석기를 사용했다. 약 4만 년 전부터는 슴베찌르개라는 석기를 창끝에 끼워 사냥했다. 2만 9천 년 전 무렵에는 흑요석으로 만든 날카로운 돌날을 끼운 칼과 창을 만들어 매머드 같은 큰 동물도 사냥했다. 하지만 구석기시대 사람들은 지금과 달리 생태계에서 가장 강한 존재는 아니었다. 거칠고 위험한 자연에서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했다.
전시 동영상
* 이 영상은 음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동굴유적과 한데유적
('동굴유적과 한데유적'에 대한 대체텍스트입니다.)
동굴 유적과 한데 유적 cave and open sites
주요유적분포도 distribution map of key sites
청원 두루봉 동굴(2굴) durubong cave(no.2) cheongwon
구석기시대 사람들은 먹을거리를 찾기 위해 끊임없이 이동을 했다 paleolithick communities maintained a cinstantly mobile lifestyle in search of food.
평양 용곡 동물 yonggok cave, pyeongyang
그들은 동굴이나 바위그늘에 머무르기도 하고 강가에서 생활하기도 하였다. they stated in caves or under rockshelters, or camped alongside rivers.
석회암지대에 위치한 동굴 유적에서는 뗀석기와 더불어 동물 뼈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in caves located in limestone areas, animal bones have been found in assocaiton with chipped stone tools
단양 구낭굴 gunanggul cave, danyang
석회암은 흙을 알카리성으로 변화시켜 뼈가 잘 썩지 않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this is beacause the soil, which became alkaline due to the limestone, prevented the bones from decay.
추운 기후에 사는 동물-동굴곰(청원 두루봉 동굴) animal that lived in a cold enviornment-cave bear(durubong cave, cheongwon)
동물 뼈를 통해 구석기시대 한반도의 날씨가 주기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animal bones indicate that the korean peninsula experienced regular changes in the climate during the paleolithic age.
더운 기후에 사는 동물-쌍코뿔이(청원 두루봉 동굴) animal that lived in a hot environment-double hom phinoceros(durubong cave, cheongwon)
사슴 엉덩이뼈 pelvis of a deer
또한 당시 사람들이 무엇을 사냥했는지 알수 있다. we can also see what type of animal was hunted at that time.
사슴 엉덩이뼈-자른 자국 pelvis of a deer-cutting mark 사슴 아래턱뼈-자른 자국 mandible of a deer - cutting mark 사슴 위팔뼈-긁은 자국 humerus of a deer-scratching mark
사슴 정강이뼈-찍은 자국 fibula of a deer-stabbing mark
연천 전곡리 유적 토층-얼음쐐기 soil statum-ice wedge
한데 유적에는 동물 뼈가 남아있지 않지만 토층에 남아있는 얼음쐐기 형태를 통해 빙하기와 간빙가 반복되었던 기후 변화를 알 수 있다. lce wedges in the soil stratum prove that the climate changed repeatedly as s result of glacial-interglacial oscillations, even though animal bones have not been found in open sites.
단양 수양개 유적 suyanggae site, danyang
이동생활을 위해 간편하게 지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this is presumably because molie groups lived simple, temproary structures.
그러나 불을 피웠던 화덕 자리, 석기를 제작하는 장소 등을 통해 당시 무리를 지어 생활했던 구석기인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however, sotne tool manufacturing locations and health sites provide us with a glimpse of the lives of paleolithic communities.
대전 용호동 유적 화덕 자리 outdoor eharth(yongho-dong site, daejeon
진안 진그늘 화덕 자리 outdoor hearth(jingeunul site, jinan)
국립중앙박물관 자료제공 kbs 역사스페셜
-
-
위치
-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