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3년 1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대표이미지
지난행사
2023년 1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20231월 새해

큐레이터와의 대화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20231큐레이터와의 대화프로그램 소개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2023년 올해도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큐레이터의 상세한 해설을 들으며 전시품을 관람할 수 있는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상설전시관 2층 기증<나눔의 가치를 발견하다>에서는 기증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겨 볼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마련되어 있다. 지난 해 12월에 문을 연 기증실은 기증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길잡이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진정한 나눔의 가치에 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선사고대관 신라실의 <신라와 황금 이야기>에서는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금관, 귀고리, 허리띠 등 황금으로 만든 금속공예품을 자세히 살펴보고, 백제실의 <사비 백제의 건축 장식>에서는 치미, 수막새, 무늬벽돌 등 우아한 백제의 건축 장식과 이에 얽힌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중근세관 고려실의 <삼국사기, 고려 사회의 삼국 역사 인식>에서는 고려 인종 23(1145) 김부식이 왕명에 따라 펴낸 삼국사기를 통해 당시 고려 지배 계층의 역사관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실의 <조선의 지도>는 혼일강리역대국도에서부터 대동여지도에 이르기까지 풍성한 지리 정보의 축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조선시대 지도 전통을 이해하는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이다.

조각공예관 청자실의 <상형청자>에서는 각종 식물, 동물, 인물 등의 모양을 본떠 만든 비색 청자 중 연꽃을 표현한 국보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와 사자 모양 뚜껑이 있는청자 사자모양 향로등을 자세히 살펴본다. 분청사기 백자실의 <조선 전기 도자기 문화>에서는 고려 시대 도자기와는 확연히 달라진 조선 시대 백자의 멋을 한껏 즐길 수 있다. 불교조각실의 <도제불상-흙으로 구워 낸 부처님>에서는 도제 불상의 제작 기법을 소개한다.

특별전시실의 <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에서는 조선시대 중요 국가 행사의 준비과정, 참석자, 소요된 물품 내역과 경비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 의궤 하나하나를 흥미롭게 소개한다.

그 밖에도 중국실의 <중국 청동 예기>, 서화실의 <전통장황과 현대장황>, <어린이박물관미륵사지교육상자 소개> 등 박물관 곳곳에서 다양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세부일정 붙임파일 참조)

박물관 사정에 따라 큐레이터, 주제, 장소 등이 변경될 수 있음

특별전시의 경우 입장(티켓 구매) 후 참석할 수 있음

관람객과 박물관의 소통 공간인 큐레이터와의 대화는 별도의 예약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단체(20명 이상) 관람객의 편의를 위해 셔틀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사전에 예약하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큐레이터와의 대화관련 리플릿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관람정보-전시해설-큐레이터와의 대화자료실에서 e-book, PDF 형태로 제공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야간개장 큐레이터와의 대화프로그램 운영

일시: 매주 수요일 18:00~18:30 / 19:00~19:30

공휴일이 수요일인 경우에는 큐레이터와의 대화없음

참여방법: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현장에서 참여 가능(정원 제한 없음)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선사·고대관, ·근세관, 기증관, 서화관, 조각·공예관,

세계문화관, 역사의 길, 특별전시실] 및 기획전시실과 야외 전시장

관람료: 상설전시관(무료), 단 기획전시와 특별전시는 관람료 별도

셔틀버스 운영: 단체 20명 이상(편도), 무료, 버스예약(02-2077-9042)

국립중앙박물관 관람시간

국립중앙박물관 관람시간을 요일, 시간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요일

시간

일요일

10:00 ~ 18:00 (입장 마감: 17:30)

토요일

10:00 ~ 21:00 (입장 마감: 20:30)



2023년 1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일정을 각 회차(날짜), 시간별로 나타낸 표입니다.

20231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일정표

707(1/4)

18:00~18:30

19:00~19:30

세계문화관

특별전시실

선사고대관

기증관

중국 청동 예기

중국실(309)

세계문화부 오세은

특별전<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10)

특별전시실(121)

고고역사부 김진실

신라와 황금 이야기

신라실(108)

고고역사부 류정한

나눔의 가치를 발견하다

기증(209)

세계문화부 김혜경

708(1/11)

18:00~18:30

19:00~19:30

중근세관

특별전시실

서화관

선사고대관

삼국사기, 고려사회의 삼국 역사 인식

고려(113)

교육과 옥재원

특별전<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11)

특별전시실(121)

고고역사부 임혜경

전통장황과 현대장황

서화(201)

보존과학부 장연희

사비백제의 건축장식

백제실(106)

미래전략담당관 정현

709(1/18)

18:00~18:30

19:00~19:30

조각공예관

특별전시실

중근세관

기증관

조선 전기 도자기 문화

분청사기백자실(304)

이정인

특별전<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12)

특별전시실(121)

고고역사부 임혜경

조선의 지도

조선(119)

디지털박물관과 백승미

나눔의 가치를 발견하다

기증(209)

세계문화부 김혜경

710(1/25)

18:00~18:30

19:00~19:30

어린이박물관

특별전시실

조각공예관

조각공예관

어린이박물관 <미륵사지> 교육상자 소개

하하배움터

(어린이박물관 입구)

어린이박물관과 정민영

특별전<외규장각 의궤, 그 고귀함의 의미>(13)

특별전시실(121)

고고역사부 김진실

상형청자

청자실(303)

미술부 강경남

도제불상 흙으로

구워낸 부처님

불교조각실(301)

전시과 선유이

  • 2023년 1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일정표.pdf 내려받기 파일보기
  • * 모바일 삼성브라우저에서는 파일보기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2023년 1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