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중요
예념미타 도량참법
  • 다른명칭

    보물 예념미타도량참법(1988), 禮念彌陀道場懺法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종이

  • 분류

    종교신앙 - 불교 - 교화 - 경전

  • 크기

    세로 36.7cm, 가로 23.9cm

  • 지정문화유산

    보물

  • 소장품번호

    신수14788

예참(禮懺)이란 몸과 마음과 입으로 지은 모든 악업을 참회하는 의식을 말한다. 『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陀道場懺法)』은 지극한 마음으로 참회하여 아미타불의 극락정토에 태어나고자 하는 예참 의식의 절차와 내용을 소개한 의식집이다.이 책은 세조(世祖)의 비(妃)인 정희대왕대비(貞熹大王大妃)가 손자 성종(成宗)의 아내였던 공혜왕후 한씨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간행한 목판본이다. 정희대왕대비는 당시 세조와 자신의 아들 의경세자[德宗], 예종(睿宗) 등 여러 왕실 가족의 죽음을 겪었다. 손자며느리인 공혜왕후가 19세의 어린 나이로 세상을 뜨자 선왕 선후인 세종과 세종의 비 소헌황후 등을 비롯해 먼저 세상을 등진 이들의 극락왕생을 빌면서 성임(成任)에게 명하여 제작하게 하였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예념미타 도량참법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