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 이미지에 마우스를 올려 확대해 보세요.
중요
방울전
  • 다른명칭

    金鈴傳, 금령전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종이

  • 분류

    문화예술 - 문헌 - 문학 - 소설

  • 크기

    가로 21.2cm, 세로 21.9cm

  • 소장품번호

    구4450

이 책에는『방훌젼』,『침션몽』,『서뇽젼』 등 세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방훌젼』은 소위 ‘공자(孔子)와 동자(童子)의 문답’으로 알려진 이야기이며, 『침선몽』은 『규중칠우쟁론기(閨中七友爭論記)』의 이본이다. 그리고 『서뇽젼』은 『서대주전』의 이본 중 하나다. 책 첫 장에는 태극기와 일장기가 X자 형태로 교차한 그림을 그렸고, 그 밑에 ‘니덕신 발상’이라고 써넣었다. 그리고 그 옆에는 ‘갑인 십이월 초육일 위시’라는 필사 시작 시기와 매화와 나비 등의 그림을 그려 놓았다. 이를 통해 볼 때, 이 책을 필사한 시기는 갑인년, 즉 1914년으로 보여진다. 『방훌전』은 공자가 천하를 주유하다가 어린아이를 만나 지혜를 다투는 내용이며,『침선몽』은 바느질과 관련 일곱 가지 물건, 자[척부인], 가위[교두각시], 바늘[세요각시], 실[청홍각시], 인두[인화낭자], 다리미[울낭자], 골모[감투할미]을 의인화한 것이다. 마지막으로『서뇽젼』은 널리 알려진 『서대주전』의 이본으로, 『서대주전』은 이본에 따라 그 내용이 다른데, 이 책은 다람쥐와 서대주의 갈등이 중심이 된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방울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