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이미지에 마우스를 올려 확대해 보세요.
백은배ㆍ유숙 필 화조산수도첩
  • 다른명칭

    白殷培ㆍ劉淑 筆 花鳥山水圖帖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종이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크기

    세로 25.4cm, 가로 29.7cm

  • 소장품번호

    덕수1625

조선 후기 화원 백은배白殷培(1820~?)가 그린 풍속화이다. 화첩에 속해 있는 그림으로, 이 그림 외에 ‘문자인연文字因緣’, ‘예림기관藝林奇觀’의 묵서 대자大字와 백은배가 그린 화조화, 유숙이 그린 인물화, ‘취화醉華’ 관서가 있는 인물화 등이 있다. 다양한 화목의 그림을 섞어 장황한 ‘잡화책’이 조선 말기에 유행하였는데, 그러한 유형의 화첩에 해당한다. <바둑두기>를 그린 백은배는 본관이 임천林川, 자는 계성季成, 호는 임당琳塘 또는 임당林堂이라고 하였다. 화원畫員 백민환白敏煥의 아들, 백준환白俊煥의 조카이며, 역시 화원이었던 이윤민李潤民의 외손자로 조선 말기 대표적인 화원가문 출신이다. 산수, 인물, 영모를 잘 그렸고, 80세 이상 장수하며 활발하게 활동하여, 안중식 등 근대기 화가들에 이어지는 위치를 점한다. <바둑두기>는 대국 중인 두 사람과 옆에서 이를 구경하는 한 사람을 그린 풍속화이다. 아무런 배경 없이 바둑판에 집중하고 있는 장면만을 그렸다. 얼굴을 살색으로 엷게 표현하고 이목구비와 수염 등을 가는 붓으로 세밀하게 묘사하였다. 대국에 집중하고 있는 표정이 생생하다. 왼쪽의 젊은이는 사방건을, 마주한 사람은 망건을 썼고 구경하는 사람은 상투관 차림인데, 복식 묘사 역시 꼼꼼하고 자세하다. 부채를 들고 담뱃대를 문 사람의 자세, 대국 중인 두 사람의 앉은 모습, 세 사람의 공간 관계 등이 명쾌하고 자연스러워, 보는 이에게 그림의 주제를 확실히 각인시키면서 화면에 몰입하도록 하는 숙달된 솜씨를 보인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백은배ㆍ유숙 필 화조산수도첩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