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7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8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9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0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1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2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3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4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5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6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7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8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19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0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1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2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3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4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5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6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7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8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29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0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1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2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3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4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5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6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7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8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39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0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1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2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3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4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5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6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7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8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49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0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1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2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3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4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5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6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7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8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59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0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1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2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3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4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5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6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7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8 보기
김진여필 성적도 이미지 69 보기
중요
김진여필 성적도
- 다른명칭
金振汝筆聖蹟圖, 공자가 노자에게 예를 묻다, 問禮老聃圖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섬유 - 견
- 작가
金振汝(玉崖)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 크기
세로 31.5cm, 가로 72.8cm, 가로 56.6cm
- 소장품번호
덕수1397
조선 후기의 화가인 김진여(金振汝)의 그림으로, 우리나라에 전해오는 공자성적도(孔子聖蹟圖) 중 가장 시기가 올라가는 작품이다. 이 중, ‘문례노담(問禮老聃)’은 공자가 제자인 남궁경숙(南宮敬叔)과 더불어 주나라에 건너가서 당시 주왕실의 도서관 사서로 있던 노담(老聃)에게서 예에 대한 가르침을 받았다는 고사를 그림으로 풀어준 것이다. 그러나 노자와 공자의 만남은 그 사실 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며, 노자가 신비스러운 인물이라 역사적 사실을 증명하기란 어렵다.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김진여필 성적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