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지난전시 특별전
꽃비 내리다-보물 제1270호 영천 은해사 괘불
  • 전시명

    꽃비 내리다-보물 제1270호 영천 은해사 괘불

  • 전시장소

    서화관 불교회화실

  • 전시기간

    2020-04-06~2020-10-11

  • 담당부서

    미술부 유수란

    (02-2077-9499)
  • 공유하기

    페이스북 X


국립중앙박물관
2020년 괘불전

꽃비 내리다-보물 제1270호 영천 은해사 괘불


국립중앙박물관은 2020년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여 꽃비 내리다-영천 은해사 괘불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에는 바다처럼 겹겹이 은빛 안개로 아름다운 사찰, 영천 은해사銀海寺의 괘불掛佛을 소개합니다.

봄기운이 감돌던 17504, 팔공산 동쪽 기슭에 자리한 은해사에서 야외 의식에 거는 대형 불화인 괘불이 완성되었습니다. 감춰진 11미터의 화면이 펼쳐지는 순간, 발 디딜 틈 없이 모인 대중들은 화사한 꽃비 속에 홀로 자리한 부처와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사람들이 마주한 부처는 누구였을까요? 괘불에 그려진 홀로 서 있는 여래는 영취산靈鷲山에서 가르침을 전한 석가모니불이었겠죠. 그러나 화려한 깃털로 장식된 새들과 화면을 가득 채운 꽃은 즐거움만 가득한 곳, 아미타불의 극락정토極樂淨土를 연상시킵니다. 괘불에 그려진 꽃은 석가모니불의 가르침을 찬탄하며 뿌려진 청정한 공양처럼 보이기도 하고, 아미타불의 극락 하늘에서 내린다는 꽃비 같기도 합니다.

은해사 괘불이 처음 펼쳐진 그날부터 270년이 지난 2020, 괘불에 담긴 이야기가 여러분에게 전해집니다. 극락정토를 다스리는 아미타불과 극락의 찬란한 모습을 그린 <염불왕생첩경도念佛往生捷徑圖>823일까지 함께 선보입니다. 열다섯 번째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찾아온 괘불을 바라보며 대형 화폭에 흩뿌려지는 꽃비에 흠뻑 취하고, 아미타불의 신앙을 깊이 새기시길 바랍니다.

○ 전시기간: 2020. 4. 6.(온라인 공개) ~ 2020. 10. 11.
   ※ 전시기간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온라인 전시관에서 은해사 괘불 영상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전시관: http://www.museum.go.kr/site/main/content/vr_museum

전시장소: 서화관 불교회화실
   ※ 상설전시관은 코로나19로 인해 사전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사전 예약 후 관람이 가능합니다. (예약 인원 미달 시 현장에서 입장권 발권 후 입장)  
      상설진시관 관람 예약: http://www.museum.go.kr/site/main/reserve/exhibitionhall/intro
전시품
: 은해사 괘불탱(보물 제1270),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보물 제1857, 823일까지 전시) 등
은해사 괘불 전경 이미지


○ "꽃비 내리다 - 영천 은해사 괘불' 전시도록 판매

열다섯 번째 괘불전 '꽃비 내리다-영천 은해사 괘불' 도록에는 은해사의 연혁과 사적을 정리하고, 괘불과 함께 은해사의 법당을 장엄한 세 불화를 종합적으로 조명했습니다. 괘불전 도록을 통해 동시기 승려 장인들의 협업 모습, 불사를 도모하기 위해 계를 조직했던 동갑내기 은해사 승려들의 공덕, 팔공산 인근의 염불신앙까지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부록에는 은해사 관련 사적의 원문과 번역문을 정리했습니다. 전시도록은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상품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목차

1. 극락구품의 고향, 팔공산 은해사


2. 꽃비 내리다-영천 은해사 괘불


3. 법당을 장엄한 은해사의 세 불화


4. 부록

- 화기와 방제
- 은해사 관련 자료
- 참고문헌
- 영문초록

괘불전 전시도록 이미지

 



가격 : 10,000원
판매: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상품점(02-2077-2943/2942)

https://www.museumshop.or.kr/kor/product/product_view.do?str_bcode=030720004&str_goodcode=202003300001

 ○  동영상


2020년 열다섯 번째 괘불전 꽃비 내리다 보물 제1270호 영천 은해사 괘불 A Rain of Flowers Buddhist Hanging Scroll at Eunhaesa Temple 아버지의 너른 품과 같은 팔공산 자락에 기댄 경상북도 영천 은해사 Eunhaesa Temple at Palgongsan Mountain in Yeongcheon, Gyeongsangbuk-do Province 은해사는 809년에 창건되어 천 년이 넘는 오랜 시간 깨달음의 빛을 이어왔습니다. Eungaesa Temple was founded in 809 and has pursued its Buddhist faith for more than a millennium. 봄기운이 감돌던 1750년 4월, 은해사에서 야외 의식에 거는 대형 불화인 괘불이 완성되었습니다. In the fourth month of 1750, a large-scale Buddhist hanging scroll at Eunhaesa Temple was completed. 207년 전 은해사 마당에 펼쳐졌던 괘불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요? What kinds of stories would this Buddhist hanging scroll have recounted when it was installed in this yard 270 years ago? 은해사 괘불의 첫 번째 이야기 꽃비와 강림한 부처 The Advent of Buddha amidst a Rain of Flowers 한눈에 담기 어려운 거대한 11미터의 화면 On the massive 11-meter long painting 영천 은해사 괘불 조선 1750년, 전체 1,165.4x554.8cm 보물 제1270호 그 안에 꽃비와 함께 부처가 홀로 강림했습니다. The Buddha emerges alone amidst of a rain of flowers. 영천 은해사 괘불 조선 1750년, 보물 제1270호 은해사 괘불처럼 홀로 서 있는 부처는 석가모니불을 표현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The images of Buddhas in the same posture as that of the Eunhaesa Buddha are all believed to represent Shakyamuni. 해남 미황사 괘불 조선 1727년, 보물 제1342호 구례 천은사 괘불 조선 1673년, 보물 제1340호 꽃과 함께 나타난 장엄한 부처도 연꽃을 들어 보여서 가르침을 전했던 석가모니불로 여겨집니다. Buddhas appearing with flowers are also thought to be Shakyamuni preaching a sermon with a lotus flower. 산청 율곡사 괘불 조선 1684년, 보물 제1316호 경전에서는 석가모니불이 가르침을 전하자 According to Buddhist scriptures, 하늘에서 그 가르침이 참된 진리임을 찬탄하며 꽃비가 내렸다고 합니다. A rain of flowers drifted down in admiration as Shakyamuni transmitted his teachings. 부처께서 이 경을 다 설하신 뒤 (중략) 하늘에서는 만다라꽃·마하만다라꽃·만수사꽃·마하만수사꽃을 내려 부처와 대중들에게 흩으며, 넓은 부처의 세계가 여섯 가지로 진동하였다. 『법화경法華經』 「서품序品」 이처럼 꽃비와 함께 강림한 부처는 석가모니불로 보입니다. This Buddha standing amidst of a rain of flowers is Shakyamuni. 그런데 1750년에 그려진 다른 불화를 보면 당시 사람들이 석가모니불로만 생각했을지 의문이 생깁니다. However, was the Eunhaesa Buddha only regarded as Shakyamuni? 국립중앙박물관 National Museum of Korea

꽃비와 강림한 부처 (02:34)


은해사 괘불의 두 번째 이야기 1750년 은해사에 손길을 내민 세 부처 Three Buddhas at Eunhaesa Temple in 1750 은해사 극락보전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괘불이 조성되던 1750년 4월, 은해사와 은해사 백흥암 법당에도 In the fourth month of 1750, when the large Buddhist hanging scroll was produced, inside the Daeungjeon Hall and Baekheungam Hermitage Hall at Eunhaesa Temple were enshrined 은해사 극락보전 아미타삼존도 조선 1750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42호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 아미타삼존도 조선 1750년 높이 4m가 넘는 아미타삼존도가 각각 보안되었습니다. sets of two four-meter paintings of Amitabha Triads. 은해사 아미타삼존도 / 은해사 괘불 / 은해사 백흥암 아미타삼존도 뾰족하게 솟은 육계와 얼굴 표현은 물론이고 These three paintings show similar depictions and facial expressions. 은해사 아미타삼존도 / 은해사 괘불 / 은해사 백흥암 아미타삼존도 전반적인 옷 주름 형태, 가장자리를 가득 메운 문양까지 유사합니다. Even the drapery folds and patterns adorning the edges are similar. 은해사 괘불 / 은해사 아미타삼존도 은해사 괘불은 보총과 처일이라는 두 승려 장인이 그렸습니다. The large Buddhist hanging scroll was painted by two monks, Bochong and Cheoil. 처일이 그린 아미타불과 괘불 속 부처의 모습이 같아서 은해사 괘불의 부처도 아미타불이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The Buddha in the large Buddhist painting and Amitabha are portrayed the same. 아미타불의 극락에는 밤낮으로 여섯 번 꽃비가 내리며 In the pure land of Amitabha, a rain of flowers falls 온갖 새들이 아름다운 소리를 낸다고 합니다. and birds make beauitiful sounds. 괘불 속 꽃비는 석가모니불을 향한 공양같기도 하고, 아미타불의 극락 하늘에서 내리는 꽃비처럼 충만하게 느껴집니다. The flowers in the large Buddhist painting appear like the flower rain that falls from the sky of Amitabha's pure land. 대형 화폭에 등장한 부처는 자신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상상 속에서 This Buddha appears to have been perceived as either Shakyamuni or Amitabha. 석가모니불로도, 아미타불로도 화현하여 따뜻하게 우리를 감쌉니다. 세 번째 이야기가 계속됩니다 국립중앙박물관 National Museum of Korea

1750년 은해사에 손길을 내민 세 부처 (02:17)


은해사 괘불의 세 번째 이야기 괘불이 품고 있는 신비로운 주문 Mysterious Incantations within the Buddhist Hanging Scroll at Eunhaesa Temple 부처가 자리한 화면 바깥을 자세히 살펴보면 또 다른 신비한 세계가 나타납니다. Another mysterious world unfolds in the borders of the painting. 화면 바깥에 자리한 81개의 붉은 원 Eighty-one red circles in the borders 그 안에는 고대 인도의 문자인 범자와 범자로 이루어진 신비한 주문, 진언이 적혀 있습니다. Ancient Indian Sanskrit characters and mantras are written insides these circles. 옴 자 례 주 례 준 졔 사바 하 점안의식에서 부처의 몸에 안치되는 준제구성범자 은해사 괘불에는 불화 조성 의식과 관련된 진언도 보이고, In the large Buddhist painting are written mantras related to the production rituals for the painting 옴 자 례 주 례 준 졔 사바 하 옴 마 니 반 메 홈 모든 죄악이 없어지고 공덕을 갖추게 되는 육자대명진언 우리에게 잘 알려진 진언도 보입니다. as well as mantras from ritual manuals. 옴 마 니 반 메 홈 [조상경]에 따르면 범자는 수행의 결과 얻은 깨달음의 결정체인 사리와 같습니다. The Sanskrit characters here are equivalent to sarira, a crystallization of enlightenment brought about by asceticism. 우리가 볼 수 없는 뒷면에도 138자의 범자가 적혀 있습니다. The back of the painting is also inscribed with 138 Sanskrit characters from mantras. 이처럼 불화에 범자와 진언을 적는 것은 생명력을 불어넣어 신성한 부처를 완성해내는 과정이었습니다. The inclusion of Sanskrit characters and mantras extablishes the presence of the sacred Buddha. 네 번째 이야기가 계속됩니다. 국립중앙박물관 National Museum of Korea

괘불이 품고 있는 신비로운 주문 (01:34)


박물관에 찾아온 열다섯 번째 괘불 Fifteenth Large Buddhist Hanging Scroll on View at the Museum 2006년부터 괘불을 공개하며 시작된 국립중앙박물관의 괘불전이 The exhibition on large-scale Buddhist paintings began in 2006. 올해로 열다섯 번째를 맞이했습니다. This year marks the fifteenth exhibition of a large-scale Buddhist painting.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은 열다섯 번째 괘불, 은해사 괘불의 서울 나들이는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요? How was the Eunhaesa painting’s outing to Seoul planned? 괘불은 무게와 크기가 상당하고, 특별한 날에만 펼쳐지기 때문에 Large-scale Buddhist hanging scrolls are unrolled only on special occasions. 먼저 괘불에 대한 정밀한 조사가 필요합니다. Before its display, an in-depth examination is required. 정밀조사를 통해 괘불의 현 상태를 파악하고, 과학의 눈으로 괘불을 살펴봅니다. The museum staff assesses the condition of the painting through scientific analysis. 사찰 답사를 통해 괘불이 걸렸던 괘불지주와 괘불대를 조사하고 They also investigate the painting supports and flagpoles 다른 성보문화재를 조사하여 은해사 괘불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기도 합니다. And collect related materials by reviewing other artifacts. 괘불의 서울 나들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운입니다. The most important step is safe transportation. 오랫동안 자리했던 사찰을 떠나서 Departing the house of the painting, 국립중앙박물관에 열다섯 번째 괘불이 도착했습니다. The fifteenth large Buddhist painting to be displayed arrived at the Museum. 괘불이 처음 펼쳐진 그날부터 270년이 지난 2020년, 높이 11미터의 대화면이 펼쳐집니다. 270 years after its production, the 11-meter hanging scroll is unrolled. 열다섯 번째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찾아온 괘불을 바라보며 대평화폭에 흩뿌려지는 꽃비에 흠뻑 취해보시길 바랍니다. We hoped that visitors will be awed by the rain of flowers in the large Buddhist painting. 국립중앙박물관 National Museum of Korea

박물관에 찾아온 열다섯 번째 괘불 (02:06)


극락의 정원: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Garden in the Pure Land: Shortcut to Rebirth in the Pure Land by Chanting the Name of Amitabha 은해사에는 극락정토를 다르리는 아미타불과 Eunhaesa Temple is home to a Buddhist painting depicting the pure land of Amitabha. 극락의 찬란한 모습이 담긴 보물,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가 전합니다. Eunhaesa Temple is home to a Buddhist painting depicting the pure land of Amitabha. 아미타불의 이름을 부르는 염불 수행이 극락에 이르는 지름길이란 뜻입니다. This painting shows how chanting the name of Amitabha can provide a shortcut to his pure land. 용머리 모양의 배에 타서 극락세계로 향하는 염불인 A dragon-headed boat carries devotees reciting a prayer to Amitabha. 진실한 마음으로 수행하고, 그 공덕으로 극락에 태어나는 사람을 태우는 가마와 천인 Celestial beings accompany a palanquin for devotees reborn in the pure land. 일곱 가지 보배로 장식된 누각과 나무,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극락조 A pavilion and trees are decorated with treasures, and birds of paradise are making beautiful calls. 염불인을 맞이하는 아미타불과 Amitabha welcomes devotees who have chanted his name. 극락의 연꽃에서 다시 태어나는 사람들까지 그려져 있습니다. Devotees are reborn in lotus flowers in the pure land.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와 함께 아미타불의 극락세계를 만나보길 바란다. We invite visitors to experience this pure land of Amitabha. 국립중앙박물관 National Museum of Korea

극락의 정원: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