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현재전시 특별전
보존과학, 새로운 시작 함께하는 미래
  • 전시명

    보존과학, 새로운 시작 함께하는 미래

  • 전시장소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센터 1층

  • 전시기간

    2025-10-28~2026-06-30

  • 전시품

    .

  • 전시요약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센터 개관 기념: 박물관 보존과학의 과거, 현재, 미래 조명

  • 담당부서

    보존과학부  장연희  (02-2077-9430)

  • 공유하기

    페이스북 X

박물관은 수천 년을 이어 온 인류의 유산이 오늘의 우리와 만나는 공간입니다. 

그 만남의 뒤편엔 시간의 흔적을 어루만지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이어 주는 ‘보존과학’이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의 역사는 1976년에 처음 시작되었습니다. 

깨진 토기 조각, 부러진 금동불상 조각을 붙이기 위해 이쑤시개 하나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접착제를

바르던 열악한 환경에서 출발했지만, 이제는 재질과 제작기법 그리고 현재 상태를 과학적으로 진단, 

가장 적절한 보존 방식을 찾아가는 전문 분야로 발전했습니다.


지금의 보존과학은 디지털과 인공지능(AI)이라는 새로운 기술과 맞닿아 있습니다. 

지난 50여 년간 쌓아 온 보존 처리 기술과 3D 스캔, 고해상도 이미지와 분석 자료 등을 디지털 자료로

전환하고 인공지능을 접목해 박물관 보존과학의 새로운 미래를 열어 나가고자 합니다.

보존과학은 단지 옛 인류의 유산을 ‘오래’ 남기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속에 담긴 삶의 흔적과 지혜를 밝혀

미래 세대로 이어 가는 과학입니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세대를 위해 우리 문화유산을 지켜 내는 길, 

그 중심에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이 있습니다. 

 - 전시 기간: 2025. 10. 25. ~ 2026. 6. 30. (오전 10시 ~ 오후 5시 30분)

 - 휴  관  일: 1월 1일, 설날, 주말 및 공휴일

 - 위치 및 오시는 길 
   
   이 이미지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위치 및 오시는 길 안내도입니다. 지도 중앙에는 박물관 본관이 있고, 하단에는 이촌역과 정문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촌역에서 박물관으로 진입하는 도보 및 차량 이동 경로가 보라색 화살표로 안내되어 있습니다. 도보 이동 시, 이촌역 출구에서 나와 ‘만남의 집(15번)’을 지나 원형 광장을 통과해 박물관 본관 입구(2번 열린마당)로 이동합니다. 차량 이동 시에는 왼쪽 하단의 ‘주차장 입구(14번)’를 통해 진입할 수 있습니다. 박물관 구역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시관(1번): 본관 중앙에 위치하며 주요 전시가 열립니다. 열린마당(2번)과 기획전시실(3번): 전시관 앞쪽과 내부에 있습니다. 극장 용(5번)과 어린이박물관(7번): 왼쪽 구역에 위치합니다. 보존과학센터(18번): 건물 오른쪽 외곽 구역에 별도로 위치하며, 노란색 음영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야외시설로는 거울못(8번), 석조물정원(9번), 미르폭포(10번), 전통염료식물원(12번), 후원못(13번) 등이 있으며, 박물관 주변 경관을 형성합니다. 편의시설로는 주차장 입구(14번), 만남의 집(15번), 거울못 식당(16번), 정문(17번)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지도의 하단에는 각 번호에 해당하는 장소 이름이 박물관 / 야외시설 / 편의시설 세 구역으로 구분되어 안내되어 있습니다. 이 지도는 박물관 방문객이 이촌역에서 보존과학센터를 포함한 주요 시설로 이동하는 경로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이 이미지는 각번호에 해당하는 장소이름이 박물관,야외시설,편의시설 세구역으로 분류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