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 소식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도록 제 16집 [조선시대 초상화 Ⅱ 발간]
  • 작성일 2009-01-28
  • 조회수 2588
  • 담당자 미술부 이혜경 (s8r+)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도록 제 16집
[조선시대 초상화 Ⅱ 발간]



-조선시대, 근대기 관복을 입은 전신상 초상화 44점 수록-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최광식)은 소장 서화 유물을 조사 · 연구하여 1991년부터 매년 제작해 온 한국서화유물도록의 제16집인『조선시대 초상화Ⅱ』를 발간하였다. 이 책은 조선시대와 근대기에 활동한 인물들이 관복(官服)을 입고 있는 모습을 그린 전신상(全身像) 초상화 44점을 수록하였으며 200여 컷의 원색도판과 상세한 해설로 초상화의 전모를 입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관복 전신상 초상화는 관리로서 나라에 큰 공이 있거나 봉직한 모습을 기리기 위해 그려진 것으로 인물들은 관복을 정식으로 착용하고 엄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중요한 인물들이니만큼 초상화를 그린 기량과 초상화를 꾸민 장황粧䌙(표구) 상태 역시 당대 최고의 솜씨를 보여준다. 

 이 책은 17세기 후반까지의 조선 전반기, 17세기 말 ~ 19세기까지의 조선 후반기, 20세기 이후의 근대기로 나누어 초상화를 수록하였고, 마지막에는 중국인과 일본인이 그린 한국인의 초상을 실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국보 제 110호인 고려시대 학자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의 초상, 조선 후기 문인 관료 남구만(南九萬, 1629~1711), 윤급(尹汲, 1697~1770)의 초상(각각 보물 제 1484호, 1496호),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의 초상(보물 제 1499호) 등이 있다.

 초상화의 전체 모습과 얼굴, 흉배, 의복 부분의 세부 컷을 찍은 원색 도판과 함께 자세한 도판 설명, X-ray 사진과 현미경 확대 사진을 통한 과학적 채색 분석, 장황 상태와 그 실측 사이즈를 실어 조선시대와 근대기 초상화를 다각적이고 흥미롭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이번『조선시대 초상화Ⅱ』 발간을 위해 정밀 조사와 과학적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 발견되었다. 이제까지 16세기 말의 초상화로 추정되었던 조선 선조대宣祖代(1567~1608)의 관리 정곤수 (鄭崑壽, 1538~1602)의 초상화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초상화의 채색 상태를 보여주는  X-ray 사진을 통해 육안으로 보이는 초상화 밑에 청대 의복을 입고 있는 또 다른 초상화가 발견된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초상화의 제작 시기를 적어도 청 왕조가 건립된 1616년 이후로 내려 보아야 할 필요성이 생겼으며, 초상화의 주인공으로 알려져 온 정곤수와 그 제작 배경에 대해서도 재검토가 요구된다. 

 이밖에도 과학적 분석 결과를 통해 육안 조사와 문헌을 통해 알고 있었던 초상화의 채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예로서 서매수(徐邁修, 1731~1818)의 초상화에서는 눈동자에 금으로 배채(背彩: 그림 뒤에서 칠하는 기법)를 하여 주인공의 형형한 눈빛을 재현한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으며, 금관조복(金冠朝服)을 착용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초상에서는 금관의 머리둘레 부분과 후면 문양 부분에 연백(鉛白)을 두껍게 발라 문양을 입체적으로 두드러지게 하고 그 위에 금박을 입혀 화려하게 마감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번에 발간된『조선시대 초상화Ⅱ』에 이어 화첩에 실린 초상화와 초상화 초본을 모아 올해 말에 발간하게 될『조선시대 초상화Ⅲ』을 끝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초상화를 조사 · 정리하여 소개하는 3년간의 작업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통해 새로운 자료가 축적되면서 향후 초상화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오는 2월 3일(화)부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실 회화실에서 남구만 초상, 서매수 초상, 흥선대원군 초상 등 이 책에서 소개된 중요한 초상화들을 전시한다.

* 270mm×  270mm, 312 쪽  초상화 도판 205매

*조선시대 초상화 Ⅱ 해설[☞다운받기]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서화유물도록 제 16집 [조선시대 초상화 Ⅱ 발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