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
- 국립중앙박물관
- 작성일 2003-03-03
- 조회수 3304
- 담당자 관리자 ()
국립중앙박물관은 2003년 3월『이달의 보존처리 문화재』로 팔준도(八駿圖)를 선정하고, 한 달간 박물관 2층 로비에서 전시한다.
팔준도(八駿圖)는 말을 소재로 한 그림 중에 여덟 필의 준마(駿馬)를 그린 것으로 이 그림은 조선초 태조(太祖)가 조선을 건국할 당시 공을 세운 여덟마리의 준마(駿馬 : 잘 달리는 우량한 말)를 그리게 한 태조팔준도(太祖八駿圖)에 근거하고 있다. 18세기 숙종(肅宗)대에 나라의 기틀을 공고히 하기 위하여 공훈을 세운 말을 기리고 이를 후대에 물려주려는 뜻에서 팔준도를 다시 제작하였는데, 이 그림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화면 오른쪽에는 말 이름과 함께 빛깔, 출산지, 공로 등의 내용이 적혀있으며, 다른 화면에는『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 실린 주석(註釋) 및 찬(讚)이 기록되어 있다.
보존처리전 유물의 상태는 화면 전체에 걸쳐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심하고 오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접지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들떠 있는 상태였다. 그리고 온·습도의 영향으로 인해 화첩이 우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고 표지로 사용된 목재가 부러져 손상이 심하였다. 따라서 이번 수리에는 오염이 심한 화면을 세척하고 배접지를 교체하여 접착력을 강화시켜주었다. 그리고 부러진 목재 표지는 보수를 하여 재사용하는 등의 현상유지에 중점을 두고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보존처리 과정은 사전조사- 해체 - 세척 - 결실부위 보강 - 배접 - 화첩제작 순으로 실시하였다.
※ 문의 :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398-5147, 천주현)

▲ 보존처리전

▲ 보존처리후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중앙] 이달의 보존처리 문화재 - 팔준도『八駿圖』전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