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국립경주박물관] 모두에게 편리한 디지털 전시안내 서비스 본격화 - 국립경주박물관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사업 개시 -
  • 등록일 2024-04-01
  • 조회수599
  • 담당부서 교육문화교류과

모두에게 편리한 디지털 전시안내 서비스 본격화

- 국립경주박물관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사업 개시 -




주요 내용

□ 사 업 명: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 운영기간: 2024. 4. 1.(월)부터

□ 운영대상: 누구나

□ 운영방법: 인공지능 기반 전시안내 키오스크 설치ㆍ운영

□ 이용방법: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역사관 및 신라미술관 내 키오스크 이용

□ 이용기간: 운영기간 내



  국립경주박물관(관장 함순섭)은 4월부터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박물관 디지털 전시안내 서비스를 본격화한다.


  이 서비스는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사업의 대표 성과로, 누구나 박물관에 설치된 인공지능 기반 전시안내 키오스크를 활용해서 박물관의 시설ㆍ전시ㆍ교육ㆍ행사ㆍ최신 소식 등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역사관 입구와 신라미술관 로비에 키오스크가 1대씩 설치되어 있다. 


  키오스크는 센서 인식 자동 높이 조정, 수어 아바타 의사소통, 화면 내용 점자 키패드 및 음성 안내 등 정보 이용에 필요한 편의 기능을 사용자의 특성에 맞춰 다양하게 제공한다. 휠체어 사용자, 청각ㆍ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어린이ㆍ노령 관람자 등 누구나 효과적으로 박물관 정보들을 얻을 수 있어, 박물관의 접근성 및 포용성 향상과 아울러 장애에 대한 사회적 공감 확대에도 유용하다.


  키오스크의 ‘QR코드’와 스마트 기기의 ‘국립박물관전시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도 키오스크의 주요 기능에 접근 가능하므로, 언제 어디서나 박물관 디지털 전시안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 국립경주박물관 이외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에도 키오스크가 설치되었으며, 향후 지역 소속박물관들에도 설치될 예정이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앞으로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사업이 누구나,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박물관 서비스로 정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필요와 의견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안내 기능 향상, 탑재 정보 현행화, 이용 편의 제고 등의 기술적 개선에 노력할 계획이다. 



 붙임  전시안내 키오스크 관련 사진 4부.  끝.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경주박물관] 모두에게 편리한 디지털 전시안내 서비스 본격화 - 국립경주박물관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사업 개시 -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