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국립경주박물관] 한국 명필의 세계와 차문화
  • 등록일 2018-07-13
  • 조회수1078
  • 담당부서 학예연구실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유병하)은 시민들의 인문학 소양을 향상시키고 신라의 전반적인 문화에 관한 내용을 알리는 강좌를 운영한다. 금주에는 다음의 강좌를 진행한다. 참가 신청은 국립경주박물관 누리집교육 및 행사’(참가신청)에서 접수할 수 있고, 당일 현장접수도 가능하다.

인문학 강좌

인문학 강좌는동양의 차 문화와 서예 탐구라는 주제로 13회 동안 진행되었다. 717일 화요일 마지막 시간으로 서예문화와 차문화를 아우르는 강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국의 서예 대가들의 작품을 접할 수 있고 더불어 차의 향기로움까지 전달해 주는 시간이 될 것이다. 인문학 강좌는 821일부터 박물관이 들려주는 근대미술이야기라는 주제로 새롭게 시작할 예정이다.

일정 : 717() 14~16

장소 : 국립경주박물관 세미나실

주제 : 한국 명필의 세계와 차문화

강사 : 김양동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석좌교수, 한국 고대문화 원형 연구소 소장)

· 학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서예·전각 전공)

· 주요경력 원광대 서예과 교수

                   – 계명대 미술대 서예과 교수(미술대 학장 역임) / 교수정년

                   – 명예 미술학 박사

· 주요저서 한국 고대문화 원형의 상징과 해석, 지식산업사, 2015.


신라학 강좌

신라학 강좌는 신라의 역사, 문화재, 철학 등 다양한 연구 분야의 최신성과를 강의로 배울 수 있다. 이번 주는 석장사지에서 출토된 탑상문전, 연기법송명탑상문전, 전불편 등을 통해 조각가 양지의 불교조각 특징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일정 : 719() 14~16

장소 : 국립경주박물관 강당

주제 : 석장사와 양지의 불교조각

강사 : 김지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강사)

· 학력 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박사 졸업 (전공분야: 新羅 佛塔)

· 주요경력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강사

                 – 경상북도 문화재 전문위원

                   – 울산광역시 문화재 전문위원

· 주요저서  울산 영축사지 동서삼층석탑 고찰, 울산 율리 영축사지 조사성과와 의의, 2018.

                    –신라 8세기 典型樣式석탑의 조영계획 연구, 미술사학연구 297, 2018.

                    – 통도사 금강계단의 변천과 浮彫像의 도상 고찰, 신라문화 50, 2017.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에 대한 고찰, 불교미술사학 22, 2016.

                    – 경주 구황동 塔址石塔材 고찰, 불교미술사학20, 2015.

                    – 통일신라 典型樣式석탑의 기단부 유형과 8세기 석탑의 편년 검토, 신라문화 45, 2015.

                    – 통일신라시대 眼象文 석탑 고찰, 문물연구 27, 2015.

                    – 경주 鍪藏寺址 史蹟과 삼층석탑에 대한 再考, 신라문화 43, 2014.

                    – 신라 佛塔의 형식과 금강역사 浮彫像 연구, 문물연구 25, 2014.

                    – 아산 오봉사 삼층석탑과 명문 분석, 미술사학연구 273, 2012.

                    – 三國遺事義解 良志使錫를 통해 본 良志의 작품과 활동시기,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2012.

                    – 경주 장항리사지 오층석탑 浮彫像 고찰, 동악미술사학12, 2012.

                    – 「慶州 錫杖사지 塼佛 硏究, 미술사학연구266, 2010.

                    – 통일신라 佛塔四天王像과 그 의미, 문물연구17, 2010.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경주박물관] 한국 명필의 세계와 차문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