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청자 음각 앵무새 학 무늬 대접
- 다른명칭
靑磁陰刻雲鳳文대접
- 국적/시대
한국 - 고려
- 재질
도자기 - 청자
- 분류
식생활 - 음식기 - 음식 - 대접
- 크기
높이 7.6cm, 입지름 16.7cm
- 소장품번호
덕수164
앵무새 무늬는 화목을 의미하는 길상문으로, 청자 제작 초기부터 즐겨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앵무새 두 마리가 쌍을 이루어 표현되는데, 이 대접에는 세 마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앵무새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마치 꼬리를 물고 돌듯이 빠른 붓 놀림으로 예리하게 그려졌다.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청자 음각 앵무새 학 무늬 대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