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중요
원교 이광사가 쓴 오언시
  • 다른명칭

    李匡師 書 五言絶句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종이

  • 작가

    이광사(李匡師, 1705-1777)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글씨 - 일반서예

  • 크기

    세로 105.4cm, 가로 56.3cm

  • 소장품번호

    본관2515

이광사(李匡師, 1705~1777)가 쓴 대자(大字) 행서(行書)이다. 이 행서는 남송(南宋)의 시인 육유(陸游, 1125~1210)의 산록(山麓)으로, 빠른 붓 놀림과 글씨의 획에 깃든 힘으로 글씨가 살아 움직이는 듯한 동감(動感)과 흥취가 뛰어난 작품이다. (草合路如線, 偶隨樵子行。林間遇磐石,小憩看春耕)원교(員嶠) 이광사는 한호(韓濩, 1543-1605) 이후 조선적인 글씨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 조선 후기의 서예가이다. 그의 글씨는 이서-윤순의 계보를 통해 이어졌는데, 스승인 윤순(尹淳, 1680-1741)과는 서풍에서 많은 대비를 보여준다. 윤순은 송(宋), 명대(明代)의 글씨풍을 자신의 글씨에 많이 수용하였지만 이광사는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로 대표되는 육조시대의 서풍을 통해 자신의 글씨를 이루었다. 이후 그의 글씨와 서예 이론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에 의해 비판을 받기도 하였으나, 이광사의 존재가 조선후기 서예에 미친 영향과 서예사적 위치는 매우 크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원교 이광사가 쓴 오언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