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중요
백자 유리홍 매화 국화 무늬 병
  • 다른명칭

    백자 동화 매국문 병(白磁 銅畵 梅菊文 甁), 白磁釉裏紅梅菊文甁

  • 국적/시대

    중국 - 원

  • 재질

    도자기 - 백자

  • 분류

    식생활 - 음식기 - 음식 - 병

  • 크기

    높이 21.4cm, 입지름 4.8cm, 몸통지름 11.8cm

  • 소장품번호

    덕수6412

유약 밑에 붉은 그림이 있다 하여 이름이 붙여진 유리홍(釉里紅) 무늬는 유하채(釉下彩) 자기의 일종이다. 붉은 구리로 만든 재료[銅紅料]를 착색제로 써서 회화 무늬를 만든 후 투명한 흰색 유약[透明釉]을 씌운 다음, 고온 환원 상태로 구우면 붉은색 무늬가 나타난다. 유리홍 자기는 소성 환경이 매우 까다로워 대접성률이 낮다. 유리홍의 시작은 원대 징더전(景德鎭)에서 출발한다. 색채가 깨끗하지 않으며, 짙은 색으로 무늬도 흐릿하다. 그래서 원대의 유리홍은 매우적은 편이다. 명나라 초기 영락(永樂) 시기에 크게 발전한다. 선덕(宣德) 시기에는 화면에 자유자재로 묘사한 제품이 나온다. 옹정(雍正) 시기에는 최고의 품질이 나오며, 건륭(乾隆)시기에는 유리홍의 심천(深淺)이 서로 다른 형태의 무늬와 백자 외에 청자, 천람(天藍), 황유(黃釉), 녹유(綠釉 )자기에도 사용된다. 이 병은 경덕진요(景德鎭窯) 초기형태의 유리홍으로 시기는 원대이다. 청백 유약바탕에 몸통에 흑유를 사용하여 쌍선으로 4등분하고 목 아래에는 파초문(芭蕉文)이 둘려 있다. 가운데 몸통에는 매화와 국화 무늬가 그려졌으며 간간이 파초와 매화가 유리홍으로 표현되어 있다. 입 둘레가 수리되어 있으며, 바닥의 접지면은 유약을 쓸어 내렸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백자 유리홍 매화 국화 무늬 병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