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추천
청자 상감 퇴화 풀꽃무늬 조롱박모양 주전자와 받침
- 다른명칭
보물 청자 퇴화 초화문 표주박 모양 주전자 및 승반(2017), 靑磁象嵌堆花草花文瓢形注子承盤, 청자 상감 퇴화 초화문 표형 주자 승반
- 국적/시대
한국 - 고려
- 출토지
경기도 - 개성부근
- 재질
도자기 - 청자
- 분류
식생활 - 음식기 - 음식 - 주전자
- 크기
전체높이 29.7cm, 높이 25cm, 뚜껑지름 5.1cm, 최대지름 18.3cm
- 지정문화유산
보물
- 소장품번호
덕수6236
퇴화기법으로 나타낸 무늬가 독특한 병이다. 퇴화(堆花)기법은 백토(白土) 안료를 붓을 이용하여 무늬를 나타낸다. 점을 찍어서 장식하거나, 무늬를 그리는 데 이용된다. 사실적인 무늬 묘사보다는 단순화시키거나 왜곡된 경우가 많으며 철화기법과 같이 붓을 이용하기 때문에 표현이 자유스럽다.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청자 상감 퇴화 풀꽃무늬 조롱박모양 주전자와 받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