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중요
금제 드리개
  • 다른명칭

    보물 서봉총금관(1963), 瑞鳳塚金冠, 금제 수하식, 金製垂下飾

  • 국적/시대

    한국 - 신라

  • 출토지

    경상북도 - 경주시

  • 재질

    금속 - 금

  • 분류

    의생활 - 관모 - 관 - 금관

  • 크기

    길이 120.7cm, 길이 11.5cm

  • 지정문화유산

    보물

  • 소장품번호

    본관14320

경주 서봉총에서 1926년 발굴된 금관(金冠)에 붙어 있던 장식이다. 머리를 장식하는 관이나 이에 부수하는 드리개는 삼국시대 고분에서 적지않게 발견된다. 신라의 관은 머리에 닿는 테에 입식(立飾)을 세우는 것을 기본형으로 삼는다. 이 드리개를 붙였던 《금관》도 전면에 출자형 입식(出字形立飾)을 세워 기본형을 따르고 있다. 드리개는 금관의 좌우에 붙여져 늘어뜨렸던 것이다. 금으로 된 굵은 고리에 긴 줄과 짧은 줄을 달았다. 이 고리와 줄에 갖은 영락(瓔珞) 장식을 하였다. 영락들은 기본적으로 심엽형(心葉形)인데, 작은 금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영락들을 촘촘하게 달아 섬세하고 정교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 여기에다 펜촉 모양의 금판식(金板飾)을 달아 변화를 추구하였다. 이 드리개는 금관의 호화찬란함을 더해주고 있다. 함께 출토된 유물로는 《청동자루솥》, 《금제완》, 《유리팔찌》, 《유리완》, 《띠드리개》와 같은 유물들이 함께 출토되었다. 또 연대를 알려주는 《은제합》(銀製盒)이 포함되어 있어 주목을 끌었다. 은제합에는 신라 눌지왕(訥祗王) 35년인 451년으로 추정되는 명문(銘文)이 있어 유물들의 연대를 유추하게 한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금제 드리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