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중요
월광사 원랑선사 탑비
  • 다른명칭

    보물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1963), 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月光寺 圓朗禪師 塔碑

  • 국적/시대

    한국 - 통일신라

  • 출토지

    충청북도 - 제천시

  • 재질

  • 분류

    사회생활 - 기념 - 비

  • 크기

    전체높이 395cm, 두께 24cm, 높이 226cm, 너비 97cm

  • 지정문화유산

    보물

  • 소장품번호

    신수18235

이 탑비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비로 보물 제360호임. 전체높이가 4미터에 가까운 웅장한 모습이다. 석비의 주인공인 원랑선사는 816년에 태어나서 845년에 정식 승려가 되는 구족계를 받았으며 당(唐)나라에 가서 불법(佛法)을 구하였다. 귀국한 뒤에는 충북 제천에 있는 월광사(月光寺)에 초빙되었다. 883년에 세상을 떠난지, 7년 후인 890년(진성여왕 4)에 그가 머물렀던 월광사에 이 비를 세웠다. 국립박물관으로 옮긴 것은 1922년의 일이다. 정연하게 줄을 맞추어 글자를 새겼는데, 쓰인 구양순체라는 글씨체는 당대에 매우 유행하였다. 비를 받치는 거북모양의 대좌, 비의 모자격인 이수가 갖추어져 전형적인 완숙기의 석비의 모습을 하고 있다. 신라말의 이같은 형식의 석비는 고려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져 건립된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월광사 원랑선사 탑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