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필자미상 일월오봉병·해반도도
  • 다른명칭

    筆者未詳日月五峯屛·海蟠桃圖, 일월오봉도, 日月五峯圖, 신선세계의 복숭아, 蟠桃圖

  • 재질

    섬유 - 견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 크기

    세로 213.5cm, 가로 151.5cm, 가로 127.3cm, 가로 93.2cm

  • 소장품번호

    덕수2153

곡병(曲屛)의 형식으로 된 이 그림은 동쪽에는 북은 해가 서쪽에는 하얀 달이 묘사되어 있다. 일월오봉도에 나타난 하늘과 땅, 물, 해, 달, 산, 나무 등은 오행(五行)으로부터 나온 팔괘(八卦)를 형상화한 것이다. 뒷면의 해반도도는 도교의 전설 속에서 신선이 먹는다는 복숭아인 해과(該課)를 그린 것이다. 복숭아가 열린 이곳은 장소의 주재자이자 수명의 신선인 서왕모가 거처한다는 바다 위의 곤륜산, 즉 상상의 선계(仙界)이다. 앞 뒤 두 그림과 크기가 같은 이 해반도도는 궁실 안을 장식한 한 쌍의 장지(障子)로 보인다. 방 중간의 벽과 천장에 문틀을 고정시킨 다음, 문지방은 필요에 따라 끼우고 장지문을 달면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칸막이 형식을 말한다. 그림의 구성이나 장황의 구조 및 형식으로 볼 때 19세기 중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필자미상 일월오봉병·해반도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