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중요
서원에서의 아취 넘치는 모임
  • 다른명칭

    西園雅集圖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섬유 - 견

  • 작가

    김홍도(金弘道, 1745-1816 이후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 크기

    세로 122.7cm, 가로 47.9cm

  • 소장품번호

    덕수4057

김홍도(金弘道, 1745-1816 이후)는 궁궐에 소속된 화가인 화원(?員)으로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 단구(丹邱), 서호(西湖)이며, 연풍 현감을 지냈다. 산수는 물론 인물, 풍속, 짐승, 꽃과 새 그림 등 모든 소재에 뛰어났으며,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거장이다. 이 작품은 단원이 34세 때인 1778년에 중국의 유명한 ′서원아집(西園雅集)′ 관련 이야기를 그린 여섯 폭 병풍이다. ′서원아집′이란 송나라 때 학자 왕진경(王晋卿, 1036-1093 이후)이 서원의 동산에서 친구인 소동파(蘇東坡)를 비롯하여 당시 명성 높은 유학자, 승려, 도사들을 초대한 모임을 말하는데, 이 모임에 참가했던 화가 이공린(李公麟)이 이를 그린 그림을 <서원아집도>라 하였다. 이후 여러 화가들에 의해 그려졌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그려졌다. ?이 병풍의 구도는 대각선 방향으로 지나가는 계곡과 대문의 사이에 모임의 장면을 배치하여 화면 중앙에 중심을 두었다. 각 인물을 사선의 축을 기준으로 배치하는 김홍도의 기본적인 구성에는 변함이 없다. 소나무와 암벽의 필치는 단원이 30대에 정립한 독특한 표현법이고, 건물 및 기구 등은 자를 사용해 정밀하게 그린 것이다. 대체로 필선이 명료하고 세밀하여 화려하고 말끔한 느낌을 준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서원에서의 아취 넘치는 모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