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방도는 선비들이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공간인 문방에서 사용된 책, 벼루, 도자기, 향로 등 다양한 기물을 그린 그림이다. 18세기 중반, 선비들 사이에서 문방구와 골동품을 수집하는 문화가 유행하면서 문방도가 인기를 끌었고, 이후 중인과 서민층으로도 확산되었다. 이 작품은 매 폭마다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틀로 구획되어 있다. 책꽂이 없이 빈 공간에 책갑에 싸인 책과 꽃병, 청동기, 자명종, 휴대용 시계, 벼루 등 선비의 문방을 장식했던 다양한 기물이 단일한 시점으로 정교하게 그려져 있다. 장원급제나 출세, 큰 행운을 기원하는 길상적인 소재는 다른 문방도에서도 자주 등장하지만 2폭에 산수화가 그려진 삽병은 이채로운 소재이다. 이형록은 19세기 궁중 화원화가이자 최고의 책가도 화가로 명성을 떨쳤다. 자신의 인장을 그림 속에 교묘히 숨겨 넣었는데, 1폭에는 이형록인이라 새겨진 인장이 그려져 있으며, 5폭 하단의 인장함에는 그의 자인 여통이 새겨진 인장이 보인다. 진한 채색과 명암 표현, 질서 정연한 기물 배치 등 궁중 화원화가로서 그의 뛰어난 기량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문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