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태자사 낭공대사 비석

한글을 창제하기 이전에는 우리나라에서도 한자를 사용해 뜻을 기록하고 전달했습니다. 중국으로부터 한국에 한자가 전래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 기원전 1세기 무렵의 붓이 출토되어 일찍부터 한자를 사용한 기록문화가 존재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백제 의자왕 때의 귀족 사택지적이 654년에 세운 사택지적비砂宅智積碑의 글씨는 단정하면서도 힘 있는 해서체楷書體로, 삼국시대의 서예가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 줍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김생金生(711-?)이 명필로 이름을 날렸습니다. 김생은 왕희지王羲之(307-365)와 안진경顔眞卿(709-785) 등 중국 서예가의 필법을 소화했을 뿐 아니라 강하고 활달한 필치로 개성을 드러내며 명필로 이름을 날렸습니다. ‘태자사太子師 낭공대사朗空大師 비석’은 통일신라의 국사國師였던 낭공대사의 행적을 기려 고려 광종 때 세운 비碑로, 김생의 행서行書를 집자集字해 글씨를 새겼습니다. 비문은 최치원崔致遠의 사촌 동생으로 당나라에서 문과에 급제했던 최인연崔仁渷이 지었습니다. 오늘날 김생의 글씨는 거의 전하지 않으므로 ‘신라의 왕희지’, ‘신품사현神品四賢’의 한 사람으로 추앙받은 김생의 글씨를 볼 수 있는 귀중한 비석입니다. 비석 옆면에는 조선 중기의 문인인 박눌朴訥(1448-1528)이 정중한 해서체로 비석을 다시 발견한 감동을 새겨 놓았습니다. 시대가 흘러도 변하지 않는 예술의 가치를 이 비석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소장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