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로 만든 기와
고려 시대에 건물 지을 때 사용한 청자 기와입니다. 『고려사』에는 의종 11년(1157)에 “양이정을 짓고 그 지붕을 청자로 이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청자 기와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수막새 면에는 두 겹의 원 테두리를 오목새김으로 표현했고, 바깥 테두리에 연밥무늬와 안쪽 테두리에 모란무늬를 돋을새김으로 표현했습니다.
소장품 바로가기 수어 동영상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고려 시대에 건물 지을 때 사용한 청자 기와입니다. 『고려사』에는 의종 11년(1157)에 “양이정을 짓고 그 지붕을 청자로 이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청자 기와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수막새 면에는 두 겹의 원 테두리를 오목새김으로 표현했고, 바깥 테두리에 연밥무늬와 안쪽 테두리에 모란무늬를 돋을새김으로 표현했습니다.
소장품 바로가기 수어 동영상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