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뒤꽂이
꼭대기에 ‘山’(산)자 모양을 한 뒤꽂이는 발해 유적에서만 확인되는 발해 고유의 독특한 양식입니다. 채釵라고 하는 U자 모양의 꽂이에 연꽃이 핀 모습을 ‘山’자 모양으로 화려하게 표현했습니다. 북한 개성시의 고려박물관에 이와 똑같은 청동제 뒤꽂이 장식이 있습니다. 개성시의 것은 발해 유민이 고려로 들어와 남긴 것이거나 발해 문화가 고려로 계승된 흔적으로 생각됩니다.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꼭대기에 ‘山’(산)자 모양을 한 뒤꽂이는 발해 유적에서만 확인되는 발해 고유의 독특한 양식입니다. 채釵라고 하는 U자 모양의 꽂이에 연꽃이 핀 모습을 ‘山’자 모양으로 화려하게 표현했습니다. 북한 개성시의 고려박물관에 이와 똑같은 청동제 뒤꽂이 장식이 있습니다. 개성시의 것은 발해 유민이 고려로 들어와 남긴 것이거나 발해 문화가 고려로 계승된 흔적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