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광개토대왕릉비 원석탁본

광개토대왕릉비는 고구려 광개토왕(재위 319-412)의 아들인 장수왕이 아버지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입니다. 비는 압록강 북쪽, 지금의 중국 지안(集安)에 위치합니다. 장군총과 태왕릉이 위치한 고구려 왕들의 무덤 가운데에 있습니다. 높이 약 6.39m의 돌에 1,775자를 새겼는데, 그중 일부는 마모되어 판독이 어렵습니다. 비의 내용은 1. 고구려 건국설화와 왕의 즉위, 2. 광개토대왕의 업적, 3. 왕릉을 지키는 수묘제에 관한 것입니다. 비는 고구려 멸망 이후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었습니다. 1877년에 그 존재가 다시 알려지면서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비의 탁본도 여러 점 제작되어 전해지고 있습니다. 광개토대왕릉비는 당시 고구려 사람들이 직접 남긴 기록으로 그 가치가 매우 높으며, 오늘날에도 4~5세기 격동의 동북아시아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2023년 국립중앙박물관은 광개토대왕릉비의 원석탁본첩을 소장하게 되었습니다. 저명한 한학자였던 청명 임창순 선생이 소장했었기 때문에 ‘청명본’으로 불리었던 판본입니다. 1889년에 리윈충(李雲從)이 탁본한 것으로, 현재 우리나라에 전해지는 몇 안 되는 원석탁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탁본첩은 3면과 4면의 일부가 누락되어 있어 완전한 판본은 아닙니다. 그간 학계의 연구를 통해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원석탁본첩이 청명본 3면의 사라진 부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밝혀졌으나, 여전히 4면의 사라진 부분은 행방이 묘연한 상태입니다.

소장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