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모란도 10폭 병풍―영원히 계속될 것 같은 모란꽃밭:이혜경

연속되는 10폭 화면에 풍성하게 핀 모란꽃과 색색의 괴석이 가득 그려져 있습니다. 장황(粧潢)으로 나뉘지 않은 연폭(連幅) 바탕에 그려져 자연스러운 구도를 만들어냈습니다. 영원히 펼쳐질 것 같은 모란꽃밭은 모란의 상징인 풍요 그 자체를 보여줍니다. 병풍을 그린 사람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규모와 화려한 채색, 그림 솜씨 등으로 보아 왕실에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작자 모름, <모란도 10폭 병풍>, 조선 1820년대, 비단에 색, 194.0×580.0cm(병풍 전체), 본8165

작자 모름, <모란도 10폭 병풍>, 조선 1820년대, 비단에 색, 194.0×580.0cm(병풍 전체), 본8165

풍요로움과 고귀함의 상징, 모란

모란은 꽃이 크고 색이 화려해서 동양에서는 고대부터 '꽃 중의 왕[花王]', ‘부귀화’ 등으로 불렸습니다. 원산지는 중국 쓰촨성[四川省]과 윈난성[雲南省] 지방인데, 중국 진한(秦漢)시대 이전부터 약재로 재배되었고, 당대(唐代)에는 중국을 대표하는 꽃이 되었습니다. 꽃의 크기는 15~ 20cm 정도로 유난히 크며, 5월을 전후하여 꽃이 핍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선덕여왕과 모란꽃 이야기가 유명하며, 설총(薛聰, 7세기 말~ 8세기 전반 활동)의 「화왕계(花王戒)」가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합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왕이 모란을 감상하거나 모란꽃 피는 것을 길조로 여기는 내용이 많이 등장합니다. 조선 후기 선비 유박(柳璞, 1730~1787)은 화훼 백과사전인 『화암수록(花菴隨錄)』에서 작약, 철쭉, 석류, 파초와 함께 모란의 특징을 ‘부귀’라고 일컬었습니다. 모란은 이처럼 조선 후기까지도 풍요로움과 고귀함의 상징이었습니다.

모란꽃, 중국 베이징 경산공원

모란꽃, 중국 베이징 경산공원

조선시대에 그려진 모란도

모란에 대한 기록이 삼국시대부터 있는 것을 보면 모란도 역시 그 시기부터 그려졌겠지만, 아쉽게도 남아 있는 작품은 없습니다. 다만 고려시대 모란무늬 청자매병, 청자주전자 등을 통해 예술품 소재로 사용된 모란 문양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모란을 소재로 한 그림은 화조화와 장식화로 분류되는 모란도 병풍으로 크게 나뉩니다. 조선시대 모란도 병풍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궁중장식화로 그려진 모란도와 민화 모란도가 남아 있습니다.
18세기 초반까지는 화조화에서 모란이 바위와 나무, 새 등과 함께 그려졌는데, 조선 후기에는 꽃의 비중이 커지고 더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심사정(沈師正, 1707~1769)의 <묵모란도>는 모란꽃의 특징을 크게 강조해서 표현했습니다. 19세기에는 모란만 단독으로 그린 모란도가 등장합니다. 신명연(申命衍, 1809~1886)의 장식적인 채색 <모란도>와 채색 없이 먹으로만 그린 허련(許鍊, 1809~1893)의 <묵모란도>가 대표적입니다.
의례용으로 제작된 모란도 병풍은 각 폭에 모란 또는 모란과 괴석이 반복해서 그려진 형태입니다. 이 가운데 왕실에서 사용한 것을 ‘궁모란병’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이 <모란도 10폭 병풍>은 일반 궁모란병과는 다른 형태입니다. 먼저 모란도 병풍의 쓰임새를 알아보고 이어서 이 병풍을 살펴보겠습니다.

심사정, <묵모란도>, 조선 18세기, </br> 종이에 먹, 136.4×58.2cm, 덕3672심사정, <묵모란도>, 조선 18세기,
종이에 먹,
136.4×58.2cm, 덕3672

신명연, <모란도>, 조선 19세기,</br> 비단에 엷은 색, 30.5×19.0cm, 덕1101 신명연, <모란도>, 조선 19세기, 비단에 엷은 색,
30.5×19.0cm, 덕1101

작자 모름, <모란도 8폭 병풍>, 조선, 종이에 색, 병풍 각 폭 192.5×57.5cm, 신15749

작자 모름, <모란도 8폭 병풍>, 조선, 종이에 색, 병풍 각 폭 192.5×57.5cm, 신15749

모란도 병풍은 언제, 어디서 사용되었을까?

모란도 병풍은 종묘의례(宗廟儀禮), 가례(嘉禮), 상례(喪禮) 등 주요 의례와 어진(御眞) 봉안처 등 다양한 왕실 행사 장소에서 사용되었습니다. 모란도 병풍과 관련된 조선 왕실의 기록은 1627년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1645)의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가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많은 기록이 있습니다.
모란도 병풍이 사용된 왕실 행사를 보면 제례·혼례·장례 등 그 성격이 매우 다양하지만, 특히 죽음과 관련된 의례에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아름답고 화려한 꽃 그림이 상례에 많이 사용되고 종묘(宗廟) 제단의 벽을 장식한 것을 보면, ‘부귀’와 ‘풍요’를 상징하는 모란을 통해 왕실의 안녕과 번영, 영속을 기원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혼례에도, 장례에도 다양하게 모란을 사용한 것입니다.
모란도 병풍은 왕실뿐 아니라 민간 혼례에도 사용되었는데, 조선 후기에 제작된 <평생도> 중 ‘회혼례도’ 장면에 모란도 병풍이 펼쳐진 모습이 등장합니다. 또한 다른 길상의 소재들과 어우러져 민화 모란도로도 그려지면서 모란은 오랫동안 여러 계층에서 널리 사랑받았습니다.

<모란도 10폭 병풍> 들여다보기

다시 <모란도 10폭 병풍> 앞으로 돌아와 그림을 바라봅니다. 이 모란도 병풍은 각 폭이 장황으로 나뉘지 않고 10폭에 이르는 화면이 하나로 이어지는 형태입니다. 이렇게 각 폭으로 나뉘지 않고 하나의 화면에 그려진 모란도 병풍은 매우 드뭅니다. 궁모란병으로 알려진 모란도 병풍 대부분이 각 폭으로 화면이 나뉘어 서로 연결되지 않는 형태입니다.
이 병풍은 화면이 나뉘지 않은 까닭에 각 폭에 모란꽃이나 괴석이 똑같이 반복되지 않고 비교적 ‘자연스럽게’ 그려졌습니다. 각 폭에 그림이 기계적으로 반복된 모란도 병풍과는 분명히 달라서, 어쩌면 실제로 존재하는 모란꽃밭을 그린게 아닐까 상상하게 합니다.
그러나 다시 살펴보면 이 병풍 역시 비슷한 도상이 반복되거나 장식 요소들이 많습니다. 먼저 한 폭에 그려진 모란꽃의 개수는 여섯 송이부터 열한 송이까지 다양하지만 하나의 나무에서 분홍색, 붉은색, 하늘색, 노란색 등 서로 다른 색의 꽃이 피었습니다. 모란 나무는 화면 앞쪽과 뒤쪽에 심었지만 나무의 키는 병풍 화면에 맞추어 거의 비슷한 형태입니다.

괴석 역시 각 폭에 기계적으로 배치하지 않았고 모양도 다양합니다. 특히 청색, 녹색, 갈색, 연분홍색 등 실제와는 전혀 다른 색으로 그려졌습니다. 모란꽃과 괴석을 표현한 색들이 각 폭으로 나뉘어 그려진 왕실 의례용 모란도 병풍에 쓰이는 색과 거의 같다는 점이 눈길을 끕니다.

<모란도 10폭 병풍> 세부 사진<모란도 10폭 병풍> 세부 사진

<모란도 10폭 병풍> 세부 사진 <모란도 10폭 병풍> 세부 사진

영원히 계속될 것 같은 모란꽃밭

10폭이 하나로 이어진 시원하고 넓은 화면에 십여 그루의 모란 꽃나무가 괴석이나 물가 앞뒤 쪽으로 공간감 있게 배치되었습니다. 모란이 피는 5월의 풍경인 듯, 아직 초록이 짙지 않은 연둣빛 잔풀이 난 땅을 딛고, 낮은 둔덕과 물가를 배경으로 모란꽃밭이 펼쳐집니다. 무성한 모란꽃의 향연 속에서 물길의 높낮이로 생긴 작은 물 계단 앞으로 연분홍 모란꽃 가지가 물에 살짝 잠겼다 올라오는 감각적인 표현도 곁들였습니다.
넓게 펼쳐진 화면에 풍성하고 화려한 모란꽃이 연이어서 가득 핀 모습은 모란이 상징하는 풍요로움과 당당함을 그대로 구현한 듯합니다. 태평성대가 영원히 계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것 같습니다. 이처럼 도식화되지 않은 구도로 하나로 이어진 모란도 병풍은 미학적으로 뛰어나지만, 남아 있는 예가 매우 적어 아쉬움을 남깁니다. 그래서 더 아름답고 귀하게 느껴집니다.

<모란도 10폭 병풍> 그림 부분 전체

<모란도 10폭 병풍> 그림 부분 전체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모란도 10폭 병풍―영원히 계속될 것 같은 모란꽃밭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