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건판 소개

유리건판 이용안내

유리건판 이용안내

유리건판 판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의 판형은 대판·중판·소판·극소판의 4종으로 분류되며, 평균적인 크기는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이 가운데 소판은 전체의 약 85.6%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 판형 분류 (단위: mm)

판형 리스트
판형 건판 크기 화면 크기 두께
대판 252×303 247×297 1.5
중판 164×214 163×208 1.5
소판 119×164 115×160 1.5
극소판(명함판) 82×107 79×105 1.5

소장품 번호

유리건판 사진은 『유리원판 목록집』(1~5권) 발간 이후 디지털 스캔 작업을 실시하여 목록집과 이미지를 대조한 후 '건판'으로 시작되는 고유 소장품 번호를 부여하여 박물관 소장품으로서 보관·관리하고 있습니다.

촬영 연도

유리건판의 촬영 연도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발간된 『유리원판 목록집』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유리원판 목록집』에 따르면, 등록된 건판의 고유번호는 예를 들어 1911년에 촬영한 102번째 건판의 경우 이를 110102번으로 등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건판번호 ‘120002’번의 경우 ‘1912년에 촬영한 2번째 건판’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 등록한 유리건판은 전체 38,000여장 중 17,000여장에 불과하며, 촬영 연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자료가 대다수입니다. 또한 유리건판은 촬영한 해에 등록을 하는 것이 원칙이나 일부 해를 넘겨 등록한 경우도 있습니다.

지역 검색

유리건판 촬영 대상의 소재 지역은 현 남한 지역의 경우 기본적으로 『유리원판 목록집』에 기재된 소재지를 인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습니다. 북한 지역의 경우 소재지는 일제 강점기에 발간된 지도인 『朝鮮半島五萬分之一地圖集成』(學生社) 을 기준으로 정리하였습니다. 그러나 행정구역의 변동 사항이 정확히 기재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유물이나 유적의 소재가 밝혀지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관련 발간물

<관련 발간물>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발행한 『유리원판 목록집』 및 유리건판 사진 자료집을 PDF 파일로 올려 두었습니다.

사진 이용

공공누리 1유형 (출처 표시)에 맞추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활용 시 소장처를 반드시 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고화질 이미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복제안내를 참고하여 ‘ 소장유물복제신청서'를 제출한 후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문의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전화 02-2077-9386, 팩스 02-2077-9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