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살무늬 토기
- 다른명칭
櫛文土器, 즐문 토기
- 전시명칭
중동부 지역의 토기
- 국적/시대
한국 - 신석기
- 출토지
강원도 - 춘천시
- 재질
흙 - 연질
- 분류
식생활 - 음식기 - 음식 - 발
- 소장품번호
신수1096
- 전시위치
신석기
빗살 무늬 토기는 우리나라 신석기 문화를 대표하는 것이다. 그릇 표면을 빗 모양의 무늬 새기개로 누르거나 그어서 기하학적 무늬를 만들었다. 크게 바닥이 뾰족한 형식과 바닥이 항아리같이 납작한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빗살 무늬 토기들은 바닥이 납작한 것이다. 강원도 춘천 소양강에 인접한 교동의 동굴 주거지에서 사람뼈, 석기 등과 함께 출토되었다. 한 점 외에는 모두 구연부(口緣部)에 문양이 새겨져 있어 빗살무늬토기 가운데 구연문토기(口緣文土器)로 분류된다. 문양이 없는 토기는 원통형에 가까운 토기로서 민무늬 토기와 접촉이 있는 빗살 무늬 토기 말기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 토기들 중 한 점에는 가로로 구멍이 뚫려 있는 한쌍의 손잡이가 대칭으로 달려 있어 이채롭다. 토기를 빚은 흙은 모두 점토질(粘土質)이고, 표면을 갈아 매끈하게 한 흔적이 남아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빗살무늬 토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