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정소공주 태항아리
  • 다른명칭

    粉靑沙器 象嵌 草花文 四耳壺

  • 전시명칭

    분청사기 상감 풀꽃무늬 둥근 고리 항아리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출토지

    경기도 - 고양시

  • 재질

    도자기 - 분청

  • 분류

    식생활 - 음식기 - 저장운반 - 항아리

  • 크기

    높이 21.2cm, 입지름 8.2cm, 몸통지름 14.9cm

  • 소장품번호

    덕수6483

  • 전시위치

    도자공예-분청사기-백자

세종대왕의 장녀인 정소(貞昭) 공주의 묘에서 출토된 항아리이다. 원래 정소공주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벽제면 대자리에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에 서삼릉으로 강제 이장되면서 함께 묻혔던 유물이 출토된 것으로 보인다. 묘 출토품이지만 태(胎) 항아리의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제작 시기를 정소공주가 태어난 1412년부터 사망한 1424년경 사이로 추정한다. 내항아리[內壺]와 외항아리[外壺]가 함께 출토되었는데, 두 항아리는 무늬를 장식하는 기법이 대조적인데, 이런 차이점은 상감청자에서 인화기법 분청사기로 발전하는 과도기적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풀꽃 무늬가 있는 내항아리(內壺)는 주로 상감기법을 써서 무늬를 넣었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정소공주 태항아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