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2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3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4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5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6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7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8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9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0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8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19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20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21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22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23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24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25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26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27 보기
금동 반가사유상 이미지 128 보기
중요
추천
금동 반가사유상
- 다른명칭
국보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 金銅半跏思惟像
- 전시명칭
반가사유상
- 국적/시대
한국 - 삼국
- 재질
금속 - 금동
- 분류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불상
- 크기
높이 90.8cm
- 지정문화유산
국보
- 소장품번호
덕수3312
- 전시위치
사유의 방
왼쪽 무릎 위에 오른쪽 다리를 걸치고 고개 숙인 얼굴의 뺨에 오른쪽 손가락을 살짝 대어 깊은 명상에 잠긴 모습의 반가사유상이다. 이러한 상은 원래 석가모니가 태자였을 때 인생의 덧없음을 사유하던 모습에서 비롯된 것으로, 중국에서는 이러한 상을 태자사유상(太子思惟像)이라고 하였다. 반가사유상은 이 상과 같이 하나의 독립된 형식으로도 만들어졌다.입가에 머금은 생기있는 미소, 살아 숨쉬는 듯한 얼굴 표정, 부드럽고 유려한 옷주름, 상체와 하체의 완벽한 조화, 손과 발의 섬세하고 미묘한 움직임 등 모든 것이 가장 이상적으로 표현된 동양불교 조각사의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일본 고류 사(廣隆寺)의 목조반가사유상과 모습이 비슷하여 영향 관계가 주목되는 상이기도 하다.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금동 반가사유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
- 연관 특별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