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궤이야기 > 의궤 개요 > 의궤의 뜻

의궤의 뜻

의궤(儀軌)란 ‘의식(儀式)의 궤범(軌範)’이라는 뜻으로 의식의 모범이 되는 책을 의미한다. 의궤는 조선시대 국가나 왕실의 중요한 의식과 행사를 개최한 후 그 전 과정을 기록한 일종의 종합 보고서이다. 의궤에는 필요에 따라 그림을 함께 그려 넣어 이해를 돕기도 하였다.

01 예비 왕비의 집에 청혼서를 들이는 의식 절차 [납채의] -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 (1802)

01 ㅣ 예비 왕비의 집에 청혼서를 들이는 의식 절차 [납채의] -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 (1802)

의궤는 의례의 전말(顚末)을 자세히 기록하여 후대 사람들이 예법에 맞게, 그리고 시행착오 없이 원활하게 일을 추진할 수 있는 모범적인 전례(典例)를 세우기 위해 제작되었다. 의궤에는 국가나 왕실의 주요 행사의 준비와 진행 과정, 의례 절차와 내용, 소요 경비, 참가 인원, 포상 내역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였는데, 이를 근거로 국정 운영의 모범을 삼고자 했던 것이다.

02 혼인 후 궁궐에서 치르는 잔치 [동뢰연]의 배치도 -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 하 (1837)

02 ㅣ 혼인 후 궁궐에서 치르는 잔치 [동뢰연]의 배치도 -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 하 (1837)

즉, 의궤는 예치(禮治)와 문치(文治)라는 조선시대 국가의 통치 철학과 운영체계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기록물이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조선왕조의궤는 200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