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궤 열람
의궤 열람 - 디렉토리 서비스
외규장각 의궤의 타 기관 미 소장본인 유일본과 구축된 의궤의 전체자료, 주제별/오례별/왕대별의 대분류로 나누어 열람할 수 있습니다.
외규장각 의궤 전체자료 서비스를 선택하면 구축된 의궤의 목록을 제공합니다. 서명을 클릭하면 해당서명의 서지사항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서비스보기 메뉴에서는 원문/서지/해제/원표지/반차도/도설 항목의 내용을 열람 할 수 있습니다.
의궤 열람 > 원문열람 > 서지
분류 목록에서 열람을 원하는 의궤를 선택하면 서지사항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선택한 의궤의 서지사항, 해제, 원문보기(목차, 텍스트, 이미지)는 탭을 이용하여 선택합니다.
의궤 열람 > 원문열람 > 해제
서지사항/해제/원문보기 탭을 이용하여 선택한 콘텐츠를 열람합니다. 해제 탭을 클릭하여 구축된 외규장각 의궤의 내용과 특징에 대한 설명자료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해제는 의궤 관련 전문 연구진이 참여하여 집필한 것으로 해당 의궤의 제작 배경, 내용, 분상용 의궤와 어람용 의궤의 차이점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습니다.
의궤 열람 > 원문열람 > 원문보기
서지사항/해제/원문보기 탭을 이용하여 선택한 콘텐츠를 열람합니다. 원문보기 탭을 클릭하여 구축된 외규장각 의궤의 목차와 이미지, 텍스트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원문 열람을 원하는 목차를 선택하여 최종 원문 콘텐츠를 열람합니다. 의궤 원문에는 목차가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내용상 구분이 되도록 [목차] 기호를 부여하여 작제作題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의궤 열람 > 원문열람
원문 최종 페이지에서 해당 목차의 본문 내용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원문 텍스트에 표점을 부가하여 원문 열람에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했습니다. 표점의 문장부호는 쉼표(“ , ”), 마침표(“ 。”), 물음표(“ ? “), 중간점(“ · “) 등을 사용했습니다. 원문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목차의 의궤 열람보기 뷰어를 호출하여 원문 이미지와 원문 텍스트를 열람합니다.
명칭 |
문장부호 |
표점 부가 기준 |
적용 예 |
쉼표 |
( , ) |
한 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에 쓴다. |
崇禎九年丙子十二月初十日, 淸兵渡鴨綠, 猝迫京城。十四日朝, 先奉廟社主, 移入江華 |
마침표 |
( 。) |
평서문, 감탄문, 명령문, 청유문 등의 문장 끝에 쓴다. |
傳曰, 允事, 傳敎矣。 |
물음표 |
( ? ) |
의문문과 반어문의 끝에 쓴다. |
令該曹詳問日官, 改擇吉朔, 以爲奉行之地, 何如? |
중간점 |
(・) |
문장 내에서 대등한 역할을 하는 명사(인명․지명․관직명․물명 등)와 단구短句의 병렬 사이에 쓴다. |
朝哭後, 大王大妃殿·中殿·世子宮, 藥房·政院·玉堂·二品以上·六曹·兩司長官問安。 |
의궤 열람 > 원문열람 > 원문보기 > 이미지 뷰어
1 |
열람 의궤의 목차 및 이미지 파일 리스트 |
2 |
선택한 이미지 열람 |
3 |
원문 이미지의 도설 간략해제 열람 |
4 |
원문텍스트 세로보기, 가로보기 선택 |
5 |
상위 분류(다른 의궤 열람을 위한 분류정보 제공-주제/오례/왕대/전체자료) |
6 |
선택한 목차의 원문텍스트(이미지와 텍스트 비교 열람) |
7 |
세주(소자쌍행)는 글자색을 청색으로 처리 |
8 |
- 확대/축소, 화면에 맞추어 보기, 원본 이미지 크기 보기(세로 축 3,000픽셀), 이전·다음·선택페이지 바로가기 · 처음 이미지로가기 · 마지막 이미지로 가기 등 이동 네비게이션, 인쇄 기능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