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반차도열람>
전체>장헌세자영우원천봉도감의궤 (4)
* 색인어를 클릭해 보세요
- 가귀선인기(駕龜仙人旗)
- 각신(閣臣)
- 각신(閣臣)
- 거안자이(擧案者二)
- 거안자이(擧案者二)
- 견여(肩轝)
- 경기감사(京畿監司)
- 금군(禁軍)
- 금군(禁軍)
- 금부도사(禁府都事)
- 금부도사(禁府都事)
- 기(機)
- 기(機)
- 기(機)
- 기(機)
- 기(機)
- 기(機)
- 내시(內侍)
- 내시(內侍)
- 내시(內侍)
- 내취(內吹)
- 당부관원(當部官員)
- 대사헌(大司憲)
- 대여(大轝)
- 대전관(代奠官)
- 대축(大祝)
- 도감당상(都監堂上)
- 도감당상(都監堂上)
- 도감당상(都監堂上)
- 도감당상(都監堂上)
- 도감당상(都監堂上)
- 도청(都廳)
- 도청(都廳)
- 도총부낭청(都摠府郎廳)
- 도총부당상(都摠府堂上)
- 만장(挽章)
- 만장(挽章)
- 만장(挽章)
- 만장(挽章)
- 명정(銘旌)
- 명정차비(銘旌差備)
- 무겸(武兼)
- 무겸(武兼)
- 방상씨(方相氏)
- 방상씨(方相氏)
- 방상씨(方相氏)
- 방상씨(方相氏)
- 방협상(傍挾床)
- 배왕대장(陪往大將)
- 백촉롱(白燭籠)
- 백촉롱(白燭籠)
- 백촉롱(白燭籠)
- 백촉롱(白燭籠)
- 벽봉기(碧鳳旗)
- 별감(別監)
- 별감(別監)
- 별감(別監)
- 별감(別監)
- 별군직(別軍職)
- 별군직(別軍職)
- 별군직(別軍職)
- 별군직(別軍職)
- 병조낭청(兵曹郎廳)
- 병조낭청(兵曹郎廳)
- 병조당상(兵曹堂上)
- 봉두별감(鳳頭別監)
- 봉두별감(鳳頭別監)
- 봉두별감(鳳頭別監)
- 봉두별감(鳳頭別監)
- 봉증백관(捧贈帛官)
- 봉증옥관(捧贈玉官)
- 부영여군(扶靈轝軍)
- 부영여군(扶靈轝軍)
- 부책별감(扶策別監)
- 부책별감(扶策別監)
- 사관(史官)
- 사관(史官)
- 삼방낭청(三房郎廳)
- 삽선삼(翣扇三)
- 삽선삼(翣扇三)
- 상차비(箱差備)
- 상차비(箱差備)
- 서기(書記)
- 선공감분차별공작(繕工監分差別工作)
- 선상군사백명(先廂軍四百名)
- 선전관(宣傳官)
- 선전관(宣傳官)
- 선전관(宣傳官)
- 선전관(宣傳官)
- 섭사복정(攝司僕正)
- 섭사복정(攝司僕正)
- 섭전례(攝典禮)
- 섭전례(攝典禮)
- 소개(素蓋)
- 소개(素蓋)
- 소선(素扇)
- 소선(素扇)
- 승지(承旨)
- 승지(承旨)
- 여재궁관(舁梓宮官)
- 여재궁관(舁梓宮官)
- 영좌교의(靈座交倚)
- 예조낭청(禮曹郎廳)
- 예조당상(禮曹堂上)
- 오색촉롱(五色燭籠)
- 오색촉롱(五色燭籠)
- 오위장(五衛將)
- 오위장(五衛將)
- 욕석차비(褥席差備)
- 우보(羽葆)
- 의장(儀仗)
- 의장(儀仗)
- 이방낭청(二房郎廳)
- 일방낭청(一房郎廳)
- 일방낭청(一房郎廳)
- 일방낭청(一房郎廳)
- 자수안마(紫繡鞍馬)
- 장마(仗馬)
- 장마(仗馬)
- 장족아(長足兒)
- 장족아(長足兒)
- 전부고취(前部鼓吹)
- 전악(典樂)
- 종사관(從事官)
- 종사관(從事官)
- 종척집사반(宗戚執事班)
- 죽산마(竹散馬)
- 죽산마(竹散馬)
- 죽안마(竹鞍馬)
- 죽안마(竹鞍馬)
- 지방련(紙牓輦)
- 지방요여(紙牓腰轝)
- 집탁호군(執鐸護軍)
- 집탁호군(執鐸護軍)
- 채여(彩轝)
- 청개(靑蓋)
- 청개(靑蓋)
- 청선(靑扇)
- 청선(靑扇)
- 청수안마(靑繡鞍馬)
- 청양산(靑陽繖)
- 청촉롱(靑燭籠)
- 청촉롱(靑燭籠)
- 청촉롱(靑燭籠)
- 청촉롱(靑燭籠)
- 총호사(摠護使)
- 충의위(忠義衛)
- 평교자(平轎子)
- 한성부당상(漢城府堂上)
- 향정자(香亭子)
- 향정자(香亭子)
- 향좌아(香佐兒)
- 향좌아(香佐兒)
- 협여장(挾轝將)
- 협여장(挾轝將)
- 호조당상(戶曹堂上)
- 홍개(紅蓋)
- 홍개(紅蓋)
- 홍촉롱(紅燭籠)
- 홍촉롱(紅燭籠)
- 홍촉롱(紅燭籠)
- 홍촉롱(紅燭籠)
- 황룡기(黃龍旗)
- 후상군삼백명(後廂軍三百名)

1789년(정조 13) 7월~10월에 양주 배봉산에 있던 장헌세자(莊獻世子, 1735~1762)의 영우원을 수원 화산으로 옮긴 과정을 기록한 『장헌세자영우원천봉도감의궤(莊獻世子永祐園遷奉都監儀軌)』 총 7책 중 제4책에 수록된 반차도이다. 이 천봉은 풍수상의 길지로 원소를 옮겨 생부를 추숭하려던 정조(正祖)의 뜻에 따라 추진되었다. 1789년 7월부터 공역이 시작되어 8월 7일 새 원소의 이름을 현륭원(顯隆園)으로 정하고, 10월 2일 옛 원소의 현궁을 열고 재궁을 꺼내어 정자각에 봉안한 후, 5일 발인하여 둑도(纛島)에서 배로 강을 건너 과천에서 하룻밤 묵고 6일 새 원소의 정자각에 도착하였다. 정조는 둑도까지 수가한 뒤 환궁하였다가 7일 새 원소에 행차하여 안장 작업을 지켜보았다.
이 반차도는 옛 원소에서 새 원소로 재궁과 부장품 등을 모셔 가는 발인 행렬의 반차를 그린 것이다. 1762년(영조 38)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발인반차도를 토대로 하면서 길의장 대열에서 책·보 가마가 제외되고 혼백련이 지방련으로 바뀌었다. 그런데 사도세자의 발인 행렬에서는 명기 채여와 만장도 없이 증옥·증백과 휘지를 담은 채여 하나만 있었기 때문에 흉의장 대열에 서는 채여도 하나뿐이었다. 정조는 이렇듯 허술한 발인 행렬에 위의를 드러내기 위해 우선 행렬 선두에 한성부 당상과 예조·호조의 당상, 대사헌을 참여시켜 왕의 도가에 버금가게 하였다. 또한 훈련도감 군병 700명을 전·후 시위대로 배치하고 만장 100축을 새로 편성하였으며 의장기의 숫자도 크게 늘렸다.
이 반차도에서는 일렬 횡대로 늘어서던 시위군의 행렬이 3개 대(隊)를 이룬 부대의 편제로 바뀌고 고초기(高招旗)와 당보기(塘報旗) 등 군사 지휘에 쓰던 각종 기치류를 등장시켜 실제 행군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군대 묘사는 영조(英祖) 연간부터 조금씩 선보이던 것을 보다 구체화한 것으로 이후 시위군 표현의 규범이 된다. 정조는 이렇게 하여 편성한 발인 행렬이 실제에서도 제대로 구현될 수 있도록 행사 전에 반차도를 여러 건 제작케 하여 관원들의 실무지침으로 하달하였다.
이 의궤 반차도는 인각을 밑그림처럼 찍은 후 윤곽선과 채색을 정밀하게 더하여 높은 완성도를 보인다. 또한 향정자와 지방거 등 각종 가마 행렬을 실제 행렬처럼 입체감 있게 묘사하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송희)
국립중앙박물관 이(가) 창작한 장헌세자영우원천봉도감의궤 (4)(莊獻世子永祐園遷奉都監儀軌 (四))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