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분청사기 인화귀얄무늬 발

굽이 다소 높은 단정한 형태의 대접으로 귀얄과 인화 기법이 함께 쓰였다. 이처럼 귀얄은 인화 등 다른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과 함께 쓰인 경우도 있다. 붓의 느낌과 도장의 단정함이 오묘하게 어울린다.

소장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