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농수정(籠水亭) – 숨어사는 선비의 보금자리

가야토기에는 회청색(灰靑色) 경질토기(硬質土器)와 적갈색(赤褐色) 연질토기(軟質土器)가 있습니다. 회청색 경질토기는 대개 제사용 토기로서 이전 시기 삼한의 와질토기가 매우 수준 높은 외래 토기 제작 기술의 영향을 받아 등장한 것입니다. 와질토기보다 훨씬 높은 1,000~1,200℃ 가량의 온도에서 토기를 구운 뒤 가마 입구를 막았는데, 가마 안은 산소가 차단되어 토기가 회청색이 됩니다. 이에 비해 적갈색 연질토기는 삼한의 무문토기 제작 기술이 발전한 것으로 주로 생활용 토기들입니다. 700~800℃ 가량의 온도에서 토기를 구운 뒤 가마의 입구를 막지 않아 적갈색이 됩니다.
이 가운데 가야토기를 대표하는 것은 회청색 경질토기입니다. 회청색 경질토기를 도질토기(陶質土器)라고 부르는 연구자도 있는데, 그 이유는 도자기처럼 단단하기 때문입니다. 3세기 말 정도에 등장하여 6세기까지 이어진 가야의 회청색 경질토기는 지역과 시기에 따라 모양과 종류가 다양합니다.

가야토기의 시작, 금관가야의 토기

가야의 회청색 경질토기가 가장 먼저 등장한 곳은 금관가야입니다. 금관가야는 경상남도 김해와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존재했던 정치체로, 늦어도 3세기 말에는 회청색 경질토기가 나타납니다. 이 지역에 있었던 변진구야국(弁辰狗邪國)은 변한의 여러 나라 가운데 와질토기가 가장 발달한 곳이었는데, 금관가야의 회청색 경질토기는 이 지역 와질토기 제작 기술을 기초로 합니다. 등장기의 금관가야 토기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두 귀 붙은 항아리입니다. 부산과 김해 지역 고분에서 4세기를 중심으로 종종 볼 수 있는 그릇입니다. 특히 김해 양동리 유적의 나무덧널무덤에서는 와질로 소성한 두 귀 붙은 항아리가 출토되어 와질토기와 회청색 경질토기의 계보가 연결되어 있다고 보는 근거가 됩니다. 이와 함께 모양이 ‘工’자와 닮았다고 하여 이름 붙인 ‘공자(工字) 모양 굽다리접시’나 화로모양 그릇받침도 등장합니다. 이런 토기들을 ‘고식(古式) 도질토기(陶質土器)’라 부르기도 하는데, 가야토기와 신라토기가 나누어지기 전의 공통 양식 토기입니다. 고식 도질토기는 김해, 부산, 함안, 칠곡, 밀양, 대구, 경주 등 다른 영남 지역에도 분포합니다.
금관가야 토기의 가장 큰 특징은 굽다리접시[高杯]와 그릇받침[器臺]이 아주 다양하다는 점입니다. 특히 굽다리접시는 가야토기의 상징과도 같습니다. 등장기인 4세기 초의 굽다리접시는 굽다리가 짧고 굽구멍이 없으며 입술이 바깥으로 꺾여 뚜껑을 얹을 수 없는 모양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짧은 굽다리가 길게 바뀌는데, 4세기 말이나 5세기 초가 되면 긴 굽다리에 상하 일렬의 장방형 굽구멍을 뚫은 모양으로 바뀝니다. 또 신라 굽다리접시와는 달리 굽다리의 모양이 나팔처럼 곡선입니다. 5세기가 되면 굽다리접시에 뚜껑받이 턱을 만들어 보주(寶珠) 모양 손잡이를 가진 뚜껑을 얹기도 합니다.
이와 함께 그릇받침이 아주 다양한 모습을 보이는 것도 금관가야 토기의 특징입니다. 화로 모양 그릇받침은 이전 와질토기에서부터 이어지던 모습입니다. 또 원통 모양이나 바리 모양 그릇받침도 나타납니다. 이 가운데 원통 모양 그릇받침은 다른 가야 지역에도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가야토기가 됩니다. 금관가야의 토기는 높은 온도에서 구워 단단하고 조형미도 뛰어나 같은 시기 어느 나라의 토기보다 아름답습니다. 금관가야 토기는 여러 지역 가야토기와 일본 고훈(古墳)시대 경질토기인 스에키(須惠器)의 조형이라는 점에서 동북아시아 토기 발달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집니다. 금관가야 토기는 김해 대성동이나 양동리 고분과 함께 4세기대의 동래 복천동 고분 출토품에서 그 전형을 볼 수 있습니다.

금관가야 토기, 가야 4~5세기, 높이 63.5cm(오른쪽 위)

금관가야 토기, 가야 4~5세기, 높이 63.5cm(오른쪽 위)
가야의 회청색 경질토기는 김해를 중심으로 한 금관가야 지역에서 가장 먼저 등장합니다. 이후 아라가야, 소가야, 대가야로 확산합니다.

일찍부터 금관가야 토기의 영향을 받은 아라가야의 토기

아라가야는 낙동강과 남강이 합류하는 함안 지역을 중심으로 존재했습니다. 지리적 이점으로 금관가야에 등장한 회청색 경질토기의 영향을 일찍부터 받았습니다. 4세기에 ‘고식 도질토기’가 등장하였는데, 이후 5세기가 되면 아라가야 특유의 토기가 나타납니다.
아라가야 토기의 가장 큰 특징은 굽다리접시에 불꽃 모양의 굽구멍을 뚫은 점입니다. 주로 5세기 대에 많이 보이는 형태인데, 이전의 공자 모양 굽다리접시에서 변화한 것입니다. 이런 굽다리접시에는 뚜껑받이 턱이 없습니다. 또 금관가야의 원통형 그릇받침과 달리 아라가야의 원통형 그릇받침은 하부가 부풀어 오르고 고사리무늬가 더해지기도 합니다. 바리 모양 그릇받침은 굽다리가 넓고 완만하게 벌어지는 것에서 점차 굽다리 상부가 좁아져 바리 부분이 아주 강조되는 비대칭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긴 목 항아리도 종종 출토되는데 뚜껑받이 턱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한편 아라가야의 토기 중 아주 특징적인 것이 있습니다. 바로 무늬를 새긴 그릇 뚜껑입니다. 함안 우거리, 윤외리 유적 등 주로 함안 지역 고분을 중심으로 많이 출토되는 것입니다. 대개 뚜껑 한가운데에 구멍을 뚫은 다음 그 주위에 동심원 모양의 무늬나 방사상의 톱니무늬를 새깁니다. 햇빛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물론 김해 화정 고분처럼 다른 지역에서도 일부 있지만 주된 분포지역은 역시 아라가야 권역입니다. 5세기에 차별화되는 아라가야 토기는 함안 도항리나 황사리 고분 출토품에서 그 전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라가야 토기, 가야 4~5세기, 높이 49.0cm(오른쪽 위)

아라가야 토기, 가야 4~5세기, 높이 49.0cm(오른쪽 위)
함안을 중심으로 한 아라가야 지역에서는 4세기에 회청색 경질토기가 나타납니다. 5세기가 되면 불꽃 모양 굽구멍을 뚫은 굽다리접시가 등장하는데 이것은 아라가야 토기의 상징입니다.

또 하나의 가야토기, 소가야의 토기

해상교통의 요지인 고성반도와 진주, 사천을 중심으로 존재했던 소가야 지역에서는 4세기 대 ‘고식 도질토기’가 거의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5세기가 되어서야 비로소 소가야 토기라 이를 수 있는 여러 종류의 토기가 등장하여 6세기까지 확인됩니다.
소가야 토기 가운데 특징적인 것은 굽다리 하단에 돌대를 돌리고 장방형의 굽구멍을 뚫은 굽다리접시입니다. 뚜껑받이 턱이 있는 형태로 정형화되는데 뚜껑에는 작은 꼭지 모양의 손잡이를 붙이기도 합니다. 또 굽구멍이 세모인 굽다리접시도 일부 확인됩니다. 세모 굽구멍 굽다리접시는 시간이 지나면서 뚜껑받이 턱이 밋밋해지고 굽구멍의 수가 줄어듭니다. 이와 함께 입부분이 되바라져 수평을 이루는 수평 입 항아리(水平口緣壺) 역시 소가야 지역에서 많이 보이는 그릇입니다.
그릇받침은 바리 모양보다 원통 모양이 특징적입니다. 원통 모양 그릇받침은 굽다리의 하단부가 아주 발달한 것에 비해 상단부가 좁아드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굽구멍은 굽다리접시와 마찬가지로 장방형이나 세모로 뚫은 것이 많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소가야 토기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넓은 입 구멍 단지(有孔廣口壺)일 것입니다. 이런 형태의 단지는 다른 가야 지역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 형태로 오히려 일본 고훈시대(古墳時大) 무덤에서 종종 출토되는 모양입니다. 일본에서는 구멍에 대롱[竹管]을 꽂은 채 출토된 것도 있어 물과 같은 음료를 마시기 위해 특별히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소가야 토기는 고성 내산리, 고성 송학동 고분이나 진주 가좌동 고분 출토품에서 그 전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가야 토기, 가야 5~6세기, 높이 48.1cm(오른쪽 위)

소가야 토기, 가야 5~6세기, 높이 48.1cm(오른쪽 위)
고성반도와 진주 등 경남 서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존재한 소가야의 토기 중 넓은 입 구멍 단지는 일본 고훈시대에 많이 출토되는 것입니다.

가야토기의 베스트셀러, 대가야의 토기

경상북도 고령과 합천을 중심으로 존재했던 대가야 영역에서 4세기 대 ‘고식 도질토기’는 잘 관찰되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김해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새로운 토기문화의 영향이 늦게 미쳤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대가야 토기라 이를 수 있는 여러 종류의 토기는 경상북도 고령과 경상남도 합천을 중심으로 5세기에 성립하여 6세기까지 확인됩니다. 비록 금관가야 토기에 비해 늦게 성립하기는 하였지만 대가야 토기는 다른 가야토기에 비해 확산성이 아주 높았습니다. 대가야의 중심지였던 고령과 합천을 중심으로 성립한 뒤 거창, 함양, 산청 등 영남뿐만 아니라 남원, 장수, 진안, 구례, 순천, 여수 등 호남 여러 지역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합니다. 당시 대가야 문화의 파급력을 잘 보여주는 현상입니다.
여러 종류의 토기 가운데 대가야 토기를 가장 잘 나타내는 토기는 원통 모양 그릇받침과 굽다리접시입니다. 특히 원통 모양 그릇받침은 다른 가야의 그릇에 비해 일찍부터 아주 정형화된 모습을 보입니다. 맨 위에서 그릇을 받치는 부분[受鉢部]은 긴 목 항아리의 목처럼 길게 뻗어 오르고 몸통의 상부는 원통을 이룹니다. 몸통의 하부는 두툼하게 부풀어 오른 종 모양입니다. 몸통에는 세모나 네모의 구멍을 뚫고 긴 고사리나 뱀 모양의 장식 띠를 세로로 붙인 것이 많습니다.
굽다리접시는 뚜껑받이 턱이 있는 모양인데 굽다리가 긴 것에서 짧은 것으로 변합니다. 초기의 굽다리접시는 김해 대성동 고분 등 금관가야 무덤에서 출토된 굽다리접시와 형태가 아주 비슷하기 때문에 금관가야 토기의 영향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 굽구멍은 아래위 2단으로 뚫었는데, 처음에는 긴 네모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짧은 네모로 변합니다. 뚜껑에는 대개 보주(寶珠) 모양의 손잡이를 붙이고 연속되는 점을 찍어 장식한 것이 많습니다. 대가야 토기는 고령 지산동, 본관동 고분과 합천 옥전 고분 출토품에서 그 전형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호남 지역의 남원 월산리나 장수 두락리 고분에서도 출토됩니다.

대가야 토기, 가야 5~6세기, 높이 60.6cm(오른쪽 위)

대가야 토기, 가야 5~6세기, 높이 60.6cm(오른쪽 위)
고령과 합천을 중심으로 존재한 대가야 토기는 가야토기 중 가장 폭넓은 확장성을 가졌습니다. 영남뿐만 아니라 남원, 장수 등 호남지방에서도 대가야 토기가 종종 출토됩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가야토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