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가야 금동관 : 이정근

흔히 관(冠)이라 하면, 신라의 화려한 금관을 먼저 떠올리게 됩니다. 고대사회에서 관은 단순히 머리를 장식하고 보호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엄격한 위계질서에 의해 유지되었던 삼국시대에는 사회적 지위에 따라 관의 형태와 재질이 구분되었습니다. 때문에 신라의 화려한 금관은 신라의 최고 권력자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가야는 어떠했을까요?

사진.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가야 금관(왼쪽)과 오구라 컬렉션의 가야 금관(오른쪽)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가야 금관(왼쪽)과 오구라 컬렉션의 가야 금관(오른쪽)
가야의 금관과 금동관

가야의 금관과 금동관은 현재까지 고령 지산동고분군, 합천 옥전고분군 등 대가야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신라에 비해 수량이 많지 않는데, 이는 가야가 관을 만들어 분배할 만큼 정치적인 성장을 이루기 전에 신라와 백제에 병합되었던 상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가야의 관은 인접한 신라와 백제의 영향을 받아 신라나 백제의 관과 유사한 형태도 있지만, 가야의 독창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금관으로는 호암미술관 소장품과 일본 동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오구라(小倉)컬렉션이 있습니다.

호암미술관 소장 금관은 고령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며 대가야 최고의 금속공예를 보여주는 명품의 하나입니다. 굽은 옥과 달개로 장식된 비교적 넓은 띠모양의 관테[臺輪]에 4개의 세움장식[立飾]을 금실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였습니다. 세움장식은 가장 꼭대기가 연꽃 봉오리모양이고 자연스럽고 사실적으로 표현된 풀잎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세움장식의 경우 관테에 못으로 고정하는 것이 많은데 비해 이 금관은 실로 연결한 것이 특징입니다. 형태는 신라 관이 나뭇가지 모양과 사슴뿔모양을 하는 것과 달리 풀잎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움장식을 가야 관의 특징으로 보고 있습니다.

오구라 컬렉션의 금관은 띠모양의 관테 중앙에 원형과 물방울모양의 달개로 장식된 연꽃 봉오리모양 세움장식을 배치하고, 양쪽으로 길게 뻗은 풀잎모양의 세움장식이 두 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신라 금관에 비해 단순한 구성이지만, 가야관의 독창성과 화려함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편 금동관으로는 아래의 고령 지산동 30호와 32호 무덤 출토품, 성주 가암동 발견품이 대표적입니다. 지산동 30호에서 출토된 금동관은 넓은 띠모양의 관테에 비해 매우 작은 세움장식 3개를 부착한 형태입니다. 연꽃 봉오리모양만으로 구성된 보다 단순한 세움장식을 하고 있습니다. 관테의 길이가 짧고 함께 출토된 두개골로 보아 어린아이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성주 가암동 파괴고분에서 발견된 금동관은 꽃과 풀 모양 세움장식 세 개를 배치하고 세움장식과 관테에 18개의 원형 달개를 장식한 형태입니다.

사진. 고령 지산동 30호 출토 가야 금동관(왼쪽)과 성주 가암동 출토 가야 금동관(오른쪽)

고령 지산동 30호 출토 가야 금동관(왼쪽)과 성주 가암동 출토 가야 금동관(오른쪽)

가야의 금관과 금동관은 수량이 많지 않음에도 형태가 정형화되지 않고 다양하지만, 꽃이나 풀모양의 세움장식, 간결한 구성이 가야관의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1,500년 잠에서 깨어난 대가야의 꿈

지산동 고분군은 병풍을 둘러놓은 것처럼 고령읍을 감싸고 있는 주산(主山)의 능선을 따라 무덤이 만들어진 대가야의 대표적인 유적입니다. 대가야의 왕도였던 고령읍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에 거대한 봉토분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200여기의 무덤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1978년, 지산동 고분군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하던 중 32호 무덤의 토기 위에 푸른색의 녹이 덮이고 여러 조각으로 깨어진 금속유물이 확인되었습니다. 많이 부식되고 부서져 녹슨 금속조각처럼 보였을지 모르지만, 이것이 정식발굴조사로 확인한 최초의 가야 금동관이었습니다. 몇 달간의 발굴이 끝나고 그보다 더 오랜 기간과 어려운 보존처리 작업을 통해 녹슬고 깨어졌던 가야의 관은 어느 정도 원래의 모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고령 지산동 32호무덤에서 출토된 금동관은 표면에만 도금이 되어 있습니다. 형태를 살펴보면, 띠모양 관테에 세움장식은 하나만 부착되어 있습니다. 윗부분에 연꽃봉오리(또는 보주형)로 장식한 광배(光背)모양의 금동판 좌우에 꺾인 가지모양의 작은 세움장식을 못으로 고정한 형태로, 작은 세움장식의 끝부분도 작은 연꽃봉오리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세움장식과 관테의 가장자리는 연속점무늬와 물결무늬를 표현하고 사이 사이에 대롱모양의 무늬를 찍었습니다. 그리고 세움장식의 중앙은 연속점무늬와 물결무늬 등으로 X자를 그리고 다시 수평선을 그어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각 선의 교차는 황금분할의 비(比)를 이루어 단조로움을 깨고 선과 면의 대칭미를 극대화 하고 있습니다.

사진. 금동관

금동관, 고령 지산동 32호, 가야, 높이 19.5 cm

관 앞쪽에 넓은 판으로된 세움장식을 한 것은 황남대총 남분의 은관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형태와 만들어진 시기가 비슷하여 유사점이 거론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만든 재료에 있어 은과 금동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황남대총 은관과 달리 새깃털모양의 세움장식이 없으며 세움장식이 형태의 디자인이 있습니다. 또, 관테 앞부분이 곡선이 아니라 일직선을 이루고, 관테와 세움장식이 따로 제작되어 못으로 고정된 차이가 있습니다. 세움장식이 산(山)자형과 유사하여 신라의 나뭇가지모양 세움장식과 비슷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분명 신라의 전형적인 세움장식과 달리 풀과 꽃모양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야관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가야 최고 권력자를 위해 만들어진 이 금동관은 오랜 세월 어두운 땅속에서 녹슬고 부서져 그 화려한 빛을 서서히 잃어갈 즈음 세상에 드러났습니다. 1,500년 전 그때처럼 반짝이지 않을지는 모르지만 대가야의 화려한 문화와 세련된 미적 감각, 뛰어난 금속공예기술을 보여주기에는 부족함이 없을 것입니다. 전시실에서 이 금동관을 보고 있노라면 신라, 백제와 힘을 겨루면서 키웠던 대가야의 웅대한 꿈, 강력했던 대가야 왕의 권위가 느껴지는 듯 합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가야 금동관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