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는 그림의 창작자인 화가에 초점을 맞추어 실경산수화의 제작 과정을 소개하는 전시입니다. 정선, 김홍도를 비롯하여 노영, 한시각, 조세걸, 전충효, 김윤겸, 강세황, 정수영, 김응환, 김하종, 윤제홍 등 고려시대부터 조선말기까지 옛 화가들이 그린 다양한 실경산수화를 선보입니다. 현장에서 스케치한 초본 및 기행화첩, 두루마리(횡권), 부채, 병풍 등을 감상하시면서 각양각색으로 펼쳐진 우리 산수의 아름다움을 느껴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화가의 시점에 따라 실제 경치가 화면에 그려지는 방식들을 살펴보고, 주관적 시선(해석)에 의해 해체, 재구성되는 양상을 조명하고자 합니다.
o 전시 기간: 2019.7.23.(화) ~ 2019.9.22.(일) [9주 61일]
* 앙코르 연장전시: 2019. 9. 30.(일) ~ 2019. 10.20.(일) [3주 21일]
o 전시 장소: 상설관 1층 특별전시실
o 전시 작품: 가장 오래된 <경포대도>, <총석정도>(16세기 중반), 정선의 <신묘년풍악도첩>(1711년),
김응환의 <해악전도첩>, 김홍도의 <병진년화첩> 등 360여 점
* 대여기간 종료로 로스앤젤레스카운티미술관 소장 강세황의 <부안유람도권>, 이한철의 <석파정도> 병풍은
9월 22일까지만 전시합니다.
o 전시 해설: 평일 10:30/ 15:00(2회)
공휴일, 주말 10:30(1회)
매주 수요일 18:00~18:30 큐레이터와의 대화
* 8.28.수요일밤의 풍류: 8월 마지막 주 수요일 큐레이터와의 대화 이후에는
19:00까지 해금과 어쿠스틱 기타의 특별한 공연이 있습니다.
* 오디오가이드 권장: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안내앱(무료, 개인 이어폰 지참), 기기대여(3,000원)
o 관람 시간: 월・화・목・금 10:00~18:00, 수・토 10:00~21:00, 일・공휴일 10:00~19:00
추석(9.13.) 휴관
o 전시 문의: 1688-0361
o 입장료 안내
구 분 |
개 인 |
단체 (20인 이상) |
성인 |
|
|
어린이 및 청소년 |
|
|
무료 입장 |
o 유아 및 노약자(7세 이하, 66세 이상) o 박물관 기증자 및 박물관회 기부 회원 o 의무복무 중인 군인 ‧ 경찰 등 o 법령에 따른 각종 유공자 본인 및 그 동반 1인 o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된 장애인과 그 동반 1인 o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의한 수급권자 및 차상위계층 해당자
|
o 연계 강연회 안내
|
일시/장소 |
강연자와 주제 |
박물관역사 |
7.24(수) 대강당 |
이태호(전 명지대학교 교수) ‘금강산수’ - 옛그림과 함께 아름다운 금강산 돌아보기 |
연계 강연회 1 |
7.31(수) 대강당 |
박은순(덕성여자대학교 교수) :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의 유형과 변모 이수미(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 : 조선 전기 실경산수화의 전통과 관동명승도 |
연계 강연회 2 |
8.28(수) 소강당 |
박은화(충북대학교 교수) : 중국 실경산수화 전통의 형성과 전승 문동수(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관) : 조선 후기 실경산수화의 실험과 파격 – 강세황과 윤제홍 |
연계 강연회 3 |
9.4(수) 소강당 |
정치영(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 사대부와 유람문화 오다연(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사) : 금강산 유람과 김응환의 <해악전도첩> |
연계 강연회 4 |
9.5(목) 교육관 제 2강의실 |
박대성 화백 : 우리 실경산수화와 화가의 창작 |
먼데이토크 1 |
9.2(월) |
문동수(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관) |
먼데이토크 2 |
9.9(월) |
오다연(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사) |
먼데이토크 3 |
9.16(월) |
최훈이(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 전문경력관 ) |
먼데이토크 4 |
10.7(월) |
이수미(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 |
먼데이토크 5 |
10.14(월) |
전배호(국립중앙박물관 디자인팀 전문경력관 ) |
* 먼데이토크 Monday Talk: 하단의 연관 교육을 클릭하시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1회 30인)
누리집> 교육,행사> 교육 신청> 누리집 가입 후 신청 가능
o 연계 상설관 주제전시(무료)
- 장소: 상설관 2층 서화실
- 내용: 그림과 지도 사이(7.2.~11.3.), 관아와 누정이 있는 그림(7.9.~11.10.),
옥호정도-한양 속 별천지(7.9.~11.10.)
o 전시도록 및 연계 학습지
문화상품점에서 판매
도록 32,000원(전시기간 중 30,000원)/학습지 3,500원
o 리플릿
8월 23일, 9월 30일 교체 전후의 작품목록
연번 |
작가 |
작품명 |
교체 화면 |
4 |
작가미상 |
관동십경도첩 |
총석정 → 낙산사 → 죽서루 |
6 |
조세걸 |
곡운구곡도첩 |
1곡 방화계 → 6곡 농수정 |
10 |
강세황 |
풍악장유첩 |
회양관아 → 학소대 |
13 |
정수영 |
해산첩 |
금강전경 → 구룡폭포 |
17 |
정선 |
세검정도 |
세검정도 → 정양사도 |
20 |
김윤겸 |
백악산도 |
백악산도→ 운암, 사인암 |
22 |
김윤겸 |
영남기행화첩 |
태종대 → 극락암 |
23 |
김희성 등 |
불염재주인진적첩 |
용음뢰 → 극락암 |
25 |
김윤겸 |
봉래도권 |
묘길상, 보덕굴 → 묘길상, 장안사 |
26 |
작가미상 |
동유첩 |
해금강전면 → 삼일호 → 해산정 비봉폭→ 구룡연 → 옥류동 진주담→ 분설담 → 마하연 흑룡담망보덕굴→ 수미탑 → 내원통암 명경대→ 단발령 → 명운담 환선정→ 피금정 → 옹천 |
27 |
김응환 |
해악전도첩 |
그림과 장소 관련글 등 19면 교체 |
28 |
김하종 |
해산도첩 |
장안사, 명경대, 헐성루망전면전경, 보덕암, 진주담, 해금강 → 은선대망십이폭,구룡폭,환선구지망총석, 낙산사, 설악전경, 설악쌍폭 → |
30 |
엄치욱 |
옥순봉도 |
옥순봉 → 구룡폭 |
39 |
윤제홍 |
학산묵희첩 |
방화굴 → 박연폭포 |
40 |
강세황 |
송도기행첩 |
영통동구 → 태종대 |
41 |
이방운 |
사군강산삼선수석첩 |
의림지, 수렴폭 → 구담 |
o 동영상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00:20)

우리 강산을 그리다 나들길 영상 (00:15)
- 연관 링크
-
연관 게시물
[소식·참여 > 소식 > 알림] 한국문화의 독창성을 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폐막을 앞둔 괘불전과 특별전
[소식·참여 > 소식 > 알림] 특별전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앙코르 연장 전시 안내
[소식·참여 > 소식 > 알림] 추석맞이 특별전(우리 강산을 그리다) 무료입장(9.11~12 수,목)
[소식·참여 > 소식 > 알림] [9.2, 9, 16] 특별전 '우리 강산을 그리다' 연계 프로그램, 먼데이토크(Monday Talk) 안내
[소식·참여 > 소식 > 알림] 특별전 ‘우리 강산을 그리다’ 연계 강연회 개최(7.31.)
[소식·참여 > 소식 > 알림] 특별전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연계 강연회 개최
[전시 > 전시도록]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
[소식·참여 > 소식 > 보도 자료] 2019년 7월 서화실 주제전시 안내
-
연관 소장품
- 연관 행사
- 연관 큐레이터와의 대화
- 연관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