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17 펠로우십 이미지
2017년 박물관 네트워크 펠로우십 주제발표회 발표자료집

2017년 박물관 네트워크 펠로우십 주제발표회 논문 자료집


발표 1. 한국미술(도자회화)


  1. 고려청자의 생산(918-1392): 프리어새클러미술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2. 소카 텝 | 캄보디아 코콩주 문화예술부 코사크난파선문화재보존팀 보존과학자

  1. 한국 민화에 나타난 경직도 연구

    베로니카 코박스 | 헝가리 엘떼대학교 한국학 석사과정

  2. 추사 김정희(1786-1865)의 서체와 '난 쓰기'의 전통

    윤첸 루 |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건축∙미술사 박사과정

  3. 형태와 사상의 다양성: 함부르크민속박물관 소장 한국 19세기 병풍을 중심으로

    카타리나 쥐바크립 | 독일 함부르크민속박물관 한국실 담당 학예사

  4. 방화수류과전천: 오벌린대학교 엘런메모리얼미술관 소장 10폭 병풍에 관하여

    임수아 | 미국 클리브랜드미술관 한국실 담당 학예사

  5. 근대의 색 : 인공 합성안료가 일본과 한국에 미친 영향

    스테파니 수 | 영국 세인즈버리일본예술문화연구소 연구원


  1. 발표 2. 교류사, 한국미술 전시

  2. 김명국 (金明國 1600-1662)과 명 후기(1368-1644)의 광태사학

    헨닝 본 미르바흐 |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동아시아미술사 박사과정

  3. 자연의 본질을 담다 : "진경(眞境)"을 주제로 한 한국, 중국, 일본 예술

    칸 트린 | 스위스 리츠버그박물관 일본∙한국미술 학예사

  4. 고려청자가 유럽 근현대 도자기에 미친 영향

    실비아 가에티 | 독일 그라시공예박물관 아시아 소장품 담당 학예사

  5. 소그디아나 왕국과의 역사∙문화적 교류: 아프라시아브 벽화의 고구려 사절단 그림을 중심으로

    오타벡 아립자노프 | 우즈베키스탄 국립역사박물관 관장

  6. 새로운 정체성 형성:  베를린의 한국정원- 서양에서 한국정원 재현

    마리아 소보트카 |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동아시아미술사 박사과정

  7. 미국 미술학술서를 통해 본 한국미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

    드닌 리 | 미국 에머슨컬리지 미술사학과 조교수

  8. 샌디에고미술관의 한국미술품 수집사와 이슈

    다이에나 초우 | 미국 샌디에고미술관 아시아미술 학예사


* 모바일 삼성브라우저에서는 파일보기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