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중요
호패
  • 다른명칭

    號牌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뼈/뿔/조개

  • 분류

    사회생활 - 사회제도 - 신표 - 호패

  • 소장품번호

    남산2587

조선시대에는 호패법에 따라 16세 이상의 남자들은 누구나 호패(號牌)를 차고 다녀야 했는데, 이는 인구 수를 파악하고 신분을 증명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호패는 신분에 따라 기재 내용과 재질이 달랐다. 1677년(숙종 3)에 편찬된 『호패사목號牌事目』에 의하면 생원이나 진사의 경우는 황양목(黃楊木)으로 만든 호패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호패 면에는 이름, 출생 연도, 생원·진사가 된 연도를 쓰도록 하였다. 이 호패들 역시 황양목으로 만든 호패로, 각각의 호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서종성의 호패 : 앞면에는 ″서종성(徐宗城) 정축생(丁丑生) 을미사마(乙未司馬)″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호패의 발급 연도인 ″을미(乙未)″가 적혀 있다. ② 김좌현의 호패 : 앞면에는 ″김좌현(金左鉉) 갑자생(甲子生) 갑진사마(甲辰司馬)″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호패의 발급 연도인 ″갑진(甲辰)″이 적혀 있다. ③ 진사 구돈화의 호패 : 앞면에는 ″구돈화(具敦和) 무자생(戊子生) 병오진사(丙午進士)″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호패의 발급 연도인 ″병오(丙午)″가 적혀 있다. ④ 진사 정종주의 호패 : 앞면에는 ″정종주(鄭宗柱) 무오생(戊午生) 을유진사(乙酉進士)″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호패의 발급 연도인 ″경인(庚寅)″이 적혀있다. ⑤ 수원 이세영의 호패 : 앞면에는 ″수원(水原) 이세영(李世永) 갑인생(甲寅生) 계유사마(癸酉司馬)″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계유식(癸酉式)″이 적혀 있다. 거주지인 수원이 기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⑥ 심응규의 호패 : 앞면에는 ″심응규(沈應奎) 경인생(庚寅生) 경술사마(庚戌司馬)″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호패의 발급 연도인 ″경술(庚戌)″이 적혀 있다. ⑦ 정남구의 호패 : 앞면에는 ″정남구(鄭南九) 신묘생(辛卯生) 임자사마(壬子司馬)″라고 적혀 있고, 뒷면에는 호패의 발급 연도인 ″임자(壬子)″가 적혀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호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