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명칭
보물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2017), 金剛山 出土 李成桂 發願 舍利莊嚴具 一括, 이성계 발원 사리구, 白磁李成桂發願舍利器
- 국적/시대
한국 - 고려
- 출토지
출토지 - 강원도
- 재질
도자기 - 백자
- 분류
종교신앙 - 불교 - 장엄 - 사리구
- 크기
높이 19.1cm, 입지름 20.5cm, 입지름 19.3cm, 바닥지름 9.3cm
- 지정문화유산
보물
- 소장품번호
본관13076
조선 왕조 개국 직전 당대의 실권자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승·속인들이 봉납(奉納)한 사리구 중 하나이다. 1932년 금강산 월출봉의 석함(石函) 안에서 발견되었다. 함께 발견된 유물로는 《은제도금사리감》, 《은제도금사리탑》, 《백자발》, 《청동완》, 《백자향로》 등이 있다. 이중에서 백자발 큰 것 두 개와 은제도금사리탑, 은제도금사리감, 청동완에는 각각 1390년, 1391년의 연기(年記)가 있어 제작 연대를 정확하게 알려준다. 이것은 백자로 만들어진 발(鉢)이다. 원만한 곡선을 지닌 팽이형의 컵 모양을 하고 있다. 입 가장자리 표면에 음각선(陰刻線)이 돌려져 있다. 몸체 위부분 중 일부가 깨졌다. 아주 낮은 굽이 달려 있다. 그릇에는 '홍무 24년'(洪武二十四年)이라는 연기가 있어 고려말 1391년 유물임을 알 수 있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